도안신도시 3단계 개발사업 이목집중
40년 숙원사업 예타 특례 적용 검토
부지 12만평 첨단산단 클러스터 등 조성
트램 조성·현충원IC 조성 논의 호재도
[충청투데이 이석준 기자] 대전교도소 이전에 청신호가 켜지면서 도안신도시 3단계 개발사업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단계 개발사업지 내에 위치한 교도소로 인해 그간 물꼬를 트지 못했지만 교도소 이전 시 사업을 본궤도에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18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난달 1일 이재명 대통령과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대전교도소 이전을 위한 공기업 예타 기준 개선 등 현안을 요청했다.
특히 시는 이러한 요청을 통해 교도소 이전 사업의 특수성을 감안, 예비타당성조사 지침 내 특례 적용을 검토하겠다는 의견을 받아냈다는 입장이다.
대전교도소는 40년 이상 도심 중심에 자리잡아 도시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으며 지속적으로 이전을 추진했지만 사업성 등으로 인해 예타를 통과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오랜 기간 지역의 숙원사업으로 자리매김했는데, 이번 정부의 검토를 통해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교도소 이전은 도안 3단계 개발사업(원내·대정동)의 시작점으로 꼽히는 만큼 지역 부동산시장의 이목도 집중되고 있다.
도안신도시는 이미 추진된 갑천지구 친수구역과 봉명동 일대 1단계 사업을 비롯해 막바지에 다다른 용계·도안동 일대 2단계 사업을 제외하면 3단계 개발계획이 마지막 퍼즐로 남았다.
당초 3단계 사업은 2030년 완료를 목표로 계획됐지만 인접한 교도소 이전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지지부진한 상태였다.
그러나 교도소 이전이 현실화한다면 향후 교도소 부지 12만평은 첨단산업클러스터와 주변 지역을 연계한 복합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며 3단계 개발사업지의 입지를 높이게 될 전망이다.
지역 한 업계 관계자는 “산업클러스터 조성으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크게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택지개발과 산업클러스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프라 확충에도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앞서 도안대로 완공에 이어 도안신도시 내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공사가 시작됐으며 3단계 사업지와 가까운 현충원IC 조성 논의도 지속 중이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그동안 도안 3단계 본격화가 계속 늦춰졌지만 완료 시점이었던 2030년에 다가갈수록 지역 주민들의 기대가 커지는 상황이다”며 “주거·산업·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도 신속한 사업 진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석준 기자 lsj@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