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노후주택 비율 3년새 1.5배 ↑
노인 가구 35%는 노후주택 거주
고립·건강 우려 속 복합정책 필요

노인. 기사와 관련없는 자료사진. 사진=연합뉴스.
노인. 기사와 관련없는 자료사진.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광현 기자] 고령화와 주택 노후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한국 사회가 전례 없는 이중 노화에 직면했다.

고령화속도는 빨라지는 가운데 충청권 일부 지역의 노후주택 비율마저 전국 평균을 넘어서며 사회전반에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율은 28%로 집계됐다.

2022년 23.5%에서 3년 만에 4.5%p나 뛴 것이다.

충청권에서는 지역 간 격차가 두드러졌다.

대전은 2022년 26.4%에서 2023년 31.6%, 지난해 36.5%로 3년 새 1.5배 가까이 늘었다.

이는 비수도권 6대 광역시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서도 전남(40.2%), 경북(37.7%)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치다.

충북도 26.8%을 시작으로 29.3%, 30.9%로 전국 평균을 웃돌았고 충남은 23.1%, 24.2%, 25.7%로 상승했다.

세종은 7.1%에서 7.2% 7.5%로 소폭 상승에 그쳐 전국 최하위 수준에 머물렀다.

문제는 노후주택에 거주하는 고령자 비율이 높다는 점이다.

통계청 자료를 살펴보면 전체 노인 가구의 35.4%가 노후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장년층(15.4%)이나 청년층(9.8%)보다 2~3배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고령인구 비율도 매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최근 3년 간 충청권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2022년 대전 16.1%에서 2023년 17%, 지난해 18%, 세종은 10.5%, 11%, 11.6%로 각각 증가했다.충북은 19.9%, 20.8%, 21.9%, 충남은 20.6%. 21.3%, 22.3%로 매년 0.6~1%p 이상 꾸준히 오르고 있다.

1인 고령 가구 급증 현상도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올해 8월 기준 충남 15만6964세대, 충북 11만6087세대, 대전 7만7598세대, 세종 1만1419세대를 기록했다.

이는 2023년 대전 6만6796세대, 충북 10만2807세대, 충남 13만8960세대, 세종 9855세대와 비교하면 2년 새 대전 16.2%, 세종 15.8%, 충북 12.9%, 충남 13% 증가한 수치다.

특히 노후주택에 거주하는 1인 고령 가구일수록 사회 안전망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낙상이나 화재 등 응급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도움을 받기 어렵고,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우울감과 건강 악화가 가속화되기 때문이다.

또 경제적 취약성도 높아 의료비 부담이나 주거환경 개선에도 한계가 있다.

노후주택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안전 위험을 높인다는 것.

전문가들은 고령화와 주택 노후화가 맞물린 이중 노화 현상이 사회 안전망과 복지 체계를 동시에 위협한다고 경고한다.

노후주택 거주 고령자들은 사회적 고립과 건강 악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열악한 주거 환경으로 긴급상황 대응력도 떨어진다.

기존처럼 주거 지원과 복지 서비스를 분리해 제공하는 방식으로는 근본적 해결이 어렵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이중 노화 현상은 단순한 인구 변화나 주거 문제를 넘어 사회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구조적 과제로 부상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주거복지와 고령자 삶의 질을 아우르는 중장기 통합정책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최광현 기자 ghc011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