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보다 8.1% 늘어난 728조 규모
대형 임무과제·기초연구 예산 증액
지역사랑상품권·상권 살리기 강화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새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이 민생회복과 과학기술육성을 위한 대대적인 예산 지원을 예고했다.

29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이날 진행된 국무회의에서 ‘2026년도 예산안’이 의결됐다.

이재명 정부가 편성한 첫 번째 예산인 내년도 예산안은 총지출이 전년 대비 8.1% 확대된 728조원 규모로 편성됐다.

예산안에서는 첨단산업 동력 확보를 위한 과학기술 R&D, AI 육성, 민생회복을 위한 예산 편성이 두드러졌다.

먼저 과학기술 부문에서는 지난달 22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통과한 역대 최대 수준으로 편성된 R&D 예산 35조 3000억원이 최종 반영됐다.

세부적으로는 PBS제도 폐지로 추가 반영된 4658억원이 국가 대형 임무과제 100개에 집중 투자됐으며 지방·신진연구자의 연구 지속성 보장을 위한 ‘풀뿌리 소액연구(5000만~8000만원)’ 과제 등이 기초연구 생태계 복원 예산도 올해보다 3600억원 증액된 2조 2000억원 수준으로 반영됐다.

또 AI 산업 육성에 10조 1000억원이 편성됐으며 AI 대전환(AX)을 위한 지역 특화산업 연계 피지컬 AI 거점 조성, GPU 확보 등이 담겼고 대전지역의 버티컬AI 대전환을 위한 예산 1594억원도 포함됐다.

민생경제 회복 부문에서는 내수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랑상품권과 온누리상품권 확대, 소상공인 지원 강화 등이 담겼다.

지역사랑상품권의 경우 24조원 규모의 발행이 예고됐으며 지역별 국비보조율도 수도권 3%, 비수도권 5%, 인구감소지역 7%로 기존 대비 1~3% 확대됐다.

이와 함께 온누리상품권도 지류 상품권 1조원과 함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4조 5000억원 규모로 계획됐다.

또 지역 상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국 66개 상권에 최대 50억원을 지원하는 상권 혁신 예산도 편성됐다.

이밖에도 소상공인의 경영안정바우처 25만원 지급과 함께 점포철거비 지원금 인상(400만원→600만원), 폐업자 전직·취업수당 확대 등이 반영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국무회의에서 의결할 내년도 예산안은 이런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고, 경제 대혁신을 통해 회복과 성장을 이끌어 내기 위한 마중물”이라며 “지금은 어느 때보다 재정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경제의 새 도약을 위해 국회에 적극적 협조를 요청드린다”고 덧붙였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