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차 공공기관 이전 추진 시동
과학기술계, KIST 등 대전 유치 제기
경쟁 심화 예상… 인센티브·전략 필요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지역 균형발전과 수도권 집중 해소를 위한 정부의 공공기관 이전을 본격 추진하면서 ‘과학수도 대전’ 완성을 위한 관련 기관 유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공공기관 이전이 대전의 혁신 역량이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란 평가가 나온 가운데 과학기술계에서는 기관 유치를 위한 대전시의 과감한 인센티브와 전략적인 움직임을 강조했다.
25일 국토부에 따르면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는 대통령 국정과제 제51번인 ‘2차 공공기관 이전 등 균형성장 거점 육성’을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이전 대상과 범위를 구체화하기 위한 조치다.
정부가 공공기관 2차 이전 추진에 시동을 건 가운데 지역 과학기술계에서도 정부 출연연 등 과학기술 분야 공공기관의 이전 가능성에 관심을 두고 있다. 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대덕특구 중심의 국가 R&D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과학수도 대전’의 위상을 한층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와 관련해서는 현재 대전시도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등 8곳의 수도권 소재 과학기술 분야 공공기관을 유치 대상으로 정하고 지난해부터 기관 유치를 위한 접촉을 이어가고 있다.
지역 과학기술계에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나노기술원 등 수도권 소재 기관들을 대전에 유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특히 KIST는 과거에도 공공기관 이전 대상에 포함돼 대전시의 유치 시도가 있었고, 출연연과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어 대전 이전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이와 함께 과학기술문화 확산 및 기반 조성을 전담하는 한국과학창의재단도 대전에 유치해 지역 출연연과의 연계를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일각에서는 공공기관 이전이 대두되면서 우주항공청 산하의 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의 사천 이전에 대한 요구가 재점화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왔으나 내부 공감대 없이는 이전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점쳐졌다.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지자체들의 치열한 물밑 경쟁이 예상되면서 기관 유치를 위한 대전시의 과감한 인센티브와 유치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역 과학기술계 관계자는 "과학기술 분야 공공기관 유치를 위해서는 이전 부지 제공과 함께 R&D 예산 지원 등 매력적인 인센티브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며 "타 지자체와의 유치경쟁도 예상되는 만큼 대전시의 전략적인 움직임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