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발표
예산 규모 35조 3000억원… 24년과 비교 33% 증액
PBS 제도 단계적 폐지 등 반영… 과학계 "환영" 입장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새 정부가 역대 최대 규모의 과학기술 R&D 예산 편성으로 연구생태계 복원과 국가 과학기술역량 강화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R&D 예산 삭감 사태’ 이후 위축된 연구생태계 복원을 위한 지원이 강화된 가운데 지역 과학기술계에서도 이번 예산 편성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열고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의결했다.
국정기획위원회 활동이 마무리되고 새 정부의 국정과제가 확정되면서 내년도 R&D 예산안이 최종 확정된 것이다.
확정된 예산 규모는 35조 3000억원으로 올해 예산 29조 6000억원 대비 19.3%(5조 7000억원)가 증가한 것으로 R&D 예산이 대폭 삭감된 2024년과 비교하면 약 33%(8조 8000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이와 함께 주요 연구개발 예산도 올해(24조 8000억원)보다 21.4% 증가한 30조 1000억원으로 편성됐다.
부문 별로는 기술주도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에너지·전략기술·방위산업·중소벤처 R&D 부문에 20조 7000억원이 편성됐으며 연구생태계 회복을 위한 기초연구 지원 및 인력양성, 출연기관 혁신 등에 12조 2000억원이 배정됐다.
특히 출연기관 혁신 부문에서는 국정기획위 활동을 통해 공식화된 ‘PBS 제도(연구과제 중심제도) 단계적 폐지’가 반영돼 5000억원 규모의 전략연구 사업이 신설되는 등 재정구조의 개편이 추진됐다.
이와 함께 지역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산·학·연 협력 강화, 지역 특화산업 연계 인공지능 전환 지원 등 지역 주도 R&D 지원에도 1조 1000억원이 배분됐다.
이번 R&D 예산 편성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은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와 관심을 얼마나 갖느냐에 따라 국가의 미래가 결정되는 것 같다”며 “이번 예산 편성으로 정상적인 증가 추세로 복귀한 것으로 대한민국 새로운 발전의 시금석이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역대 최대 규모의 R&D 예산 편성이 확정되면서 지역 과학기술계에서도 새 정부의 과학기술 육성 의지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광오 공공과학기술연구노조 정책위원장은 “예산이 늘었다는 것 자체도 의미가 있지만 이를 통해 정부가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힘을 싣고 있다는 것이 더 큰 의미”라며 “PBS 제도 폐지, 기초연구 지원 등 연구 현장에서 지난 3-4년 동안 요구해온 내용이 반영된 정부의 국정기조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