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 전경[서산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 전경[서산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남 서산시가 정부의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이번 지정으로 서산시는 물론 충남지역 경제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대산석유화학단지의 위기 극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석유화학업계는 지난해 말부터 극심한 불황에 시달리고 있다. 중국과 중동의 대규모 설비 증설로 공급 과잉이 빚어지면서 대산석유화학단지는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없을 만큼 위태로운 상황에 놓여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이번 불황이 적어도 2028년 말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우려를 더 키웠다.

국내 2위의 석유화학 생산능력을 갖춘 대산공단은 지역경제는 물론 국가경제에 큰 기여를 해 왔지만 최근 불황으로 가동률이 한 때 30%까지 떨어지는 듯 심각한 상황을 맞이했었다. 서산시와 충남도는 물론 지역 경제계, 정치계에서는 대산공단의 위기 극복을 위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의 즉각적인 지정을 요구해 왔다. 이완섭 시장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손 편지를 보내 대산공단의 어려움과 경영위기를 전하고 산업우기 선제대응지역 지정만이 서산시와 대한민국 산업을 지켜내는 길이라고 끈질기게 설득했다.

이번 지정으로 서산시는 오는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간 고용유지 지원금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대츨 만기연장 및 원금상환 등 막대한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원은 현대오일뱅크와 한화토탈에너지, 엘지화학, 롯데케미칼 등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까지 혜택이 주어진다.

뿐만아니라 서산시는 600억원 규모의 지방교부세도 추가로 배정받게 된다. 대산공단 불황으로 침체에 빠진 서산지역 경제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산공단에 앞서 지난 4월 먼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여수국가산단은 정부의 지정 이후 추경에서 예산을 확보하고 2조 6000억원대 석유화학 대전환 메가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대산공단도 이번 지정으로 급한 불을 끄고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하지만 대산공단이 제대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기업들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수다. 정부의 재정지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전체 경제를 다시 할성화 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관리가 반드시 수반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