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 전종원 기자] 충남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가 흔들리고 있다.

연간 수출 154억 달러, 5조 원의 법인세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산업의 중추 역할을 해온 이곳이, 이제는 감산과 적자, 투자 축소로 조용히 침몰 중이다.

대산산단의 위기는 수치로 확인된다.

2024년, 주요 기업 4곳의 적자만 7000억 원에 이른다.

지방세 수입은 절반으로 줄었고, 설비 투자는 3년 만에 77% 감소했다.

한때 한국 수출을 이끌던 이곳은 이제 협력업체의 생존, 청년의 이탈, 지역경제의 침체를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이완섭 서산시장은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할 시간”이라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강력히 요청했다.

그의 발언은 정치적 수사를 넘어서, 산업 현장의 냉정한 현실 인식에 가깝다.

이미 지자체가 할 수 있는 노력은 다 해봤다.

이제는 중앙정부의 구조적 개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산산단은 ‘개별입지 산업단지’라는 이유로 정부 지원의 사각지대에 있었다.

그 결과는 기반시설 부족, 청년 정주 여건 악화, 기업 투자 지연이라는 뼈아픈 후유증으로 이어졌다.

서산시는 대죽리 일원에 140만 평의 신규 부지를 확보했고, 1조 5000억 원 규모의 국가산단 조성 계획도 마련해 두었다.

단순한 확장이 아니라, RE100 대응과 청년이 머무를 수 있는 산업도시를 그리는 구상이다.

국가산단 지정 시 기대되는 120개 기업 유치, 연간 4조 5000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 2만 5000개의 일자리 창출은 단지 ‘숫자’가 아니다.

그것은 지역 회복을 넘어, 대한민국 산업의 재균형을 꾀할 수 있는 실질적 기회다.

서산 대산산단의 굴뚝은 오늘도 쉼 없이 연기를 내뿜는다.

지금 이 굴뚝이 멈춘다면, 문제는 서산만의 몫이 아니다.

그 여파는 곧 대한민국 산업 경쟁력 전체에 파장을 미칠 것이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국가산업단지 지정.

그 두 문장이 대산을 살리고, 대한민국의 내일을 지킬 열쇠다.

정책은 타이밍을 놓치면 효과는 반감된다. 구조는 더 빨리 무너진다.

지금 필요한 것은 예산보다 빠른 ‘결단’이다.

그리고 그 결단의 몫은 이제 국가에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