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지역산업 연계 성장 전략 접근
대전 대덕특구·행정수도 연계성 강조 부각
충남 기후환경·탄소중립·에너지분야 공략

충남도청(왼쪽) 대전시청(오른쪽) [각 시도청 제공]
충남도청(왼쪽) 대전시청(오른쪽) [각 시도청 제공]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는 공공기관 2차 이전을 앞두고 맞춤 전략을 구체화하며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혁신도시 지정 이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두 지역은 이번 이전을 실질적인 도약의 기회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27일 대전시와 충남도에 따르면 이번 이전을 단순한 ‘기관 확보전’이 아니라 지역산업과 연계한 성장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

대전시는 과학기술과 철도, 중소기업 관련 기관 유치에 집중하고 있다. 동구 역세권지구는 철도·중소기업 중심의 혁신지구로, 대덕구 연축지구는 과학기술 혁신 클러스터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대덕특구와 세종 행정수도, 오송 바이오 클러스터와의 연계 효과를 강조하며 수도권 기관이 이전해도 시너지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점을 부각하고 있다.

시는 애초 38개 기관을 목표로 삼았지만, 국정기획위 로드맵 일정에 맞춰 유치 희망 기관과 전략을 다시 다듬고 있다.

충남도는 기후환경·탄소중립·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전략을 짰다.

한국환경공단, 한국탄소중립진흥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 44개 기관을 중점 대상으로 삼고, 한국문화관광연구원·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같은 문화·체육 분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한국투자공사 등 경제 관련 기관도 포함했다.

기존에 유치 대상으로 거론됐던 해양환경공단과 한국어촌어항공단이 부산으로 이전할 예정인 만큼 도는 ‘5극 3특’ 중부권 주요 성장산업에 맞는 바이오 관련 기관 등 새로운 후보군을 추가 발굴해 정부에 제안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자회사 등 산하 기관까지 전수조사해 유치 가능성을 넓히고 있다.

두 지자체는 기관별 맞춤 논리를 개발하는 동시에 중앙정부와의 접촉을 강화하고 있다.

정책토론회와 간담회를 통해 국회의원과 부처 관계자, 이전 후보 기관들과의 접점을 넓히며, 10월 발표 예정인 국토부 연구용역 결과를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용역 결과에 맞춰 전략을 구체화하고, 본격적인 유치전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학계에서 대전과 충남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단순히 기관 수만 늘리는 방식으로는 전국적인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덕특구, 세종 행정수도, 내포혁신도시 등 충청권 자원을 하나의 축으로 엮어내는 전략적 설득력이 관건으로 꼽힌다.

원구환 한남대 행정학과 교수는 "충청권은 늦게 출발한 만큼 더 치밀한 논리와 전략이 필요하다"며 "단순히 몇 개 기관 유치에 그치지 않고 지역산업과 연계해 새로운 성장축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정부와 국민에게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