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억 투입 대규모 하천정비 나서
[충청투데이 윤양수 기자] 청양군이 지난 7월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복구비 321억 원을 확보하며 대규모 하천 정비에 나선다. 단순 복구가 아닌 장기적 재난 대응 역량 강화와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7월 청양군은 사흘 동안 쏟아진 폭우로 하천 85개소가 파손되는 등 공공시설 피해액만 385억 원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다. 군은 비가 그친 직후인 7월 16일부터 응급복구 작업을 병행하며 피해 지역 전수 조사를 실시했다. 이어 7월 27일부터 진행된 중앙합동조사에서는 피해가 누락되지 않도록 철저히 대응했다. 그 결과 하천 피해액만 70억 원이 확정돼 특별재난지역 선포 기준에 준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피해가 컸던 대치면 상갑리 농소소하천은 개선복구사업 대상지로 지정돼 189억 원의 복구비를 확보했다. 개선 복구는 단순히 파손된 제방을 원상복구하는 것이 아니라 재해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장기적인 홍수 예방 효과를 높이는 종합 정비사업이다. 이를 통해 군은 매년 반복되던 침수와 제방 붕괴 우려를 구조적으로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운곡면 추광리의 양지소하천은 기능복원사업임에도 불구하고 42억 원의 복구비가 배정돼 노후된 하천 시설물을 전면 정비하는 등 사실상 개선복구에 준하는 수준의 공사가 가능해졌다. 이 외에도 83개소의 하천 피해 구간에 총 90억 원이 투입돼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복구가 추진된다.
군 관계자는 “응급복구에 머무르지 않고 항구적이고 체계적인 복구사업으로 나아가겠다”며 “이번 사업은 안전뿐 아니라 지역 하천의 환경 개선과 경관 회복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돈곤 군수는 “발 빠른 재난 초동 대처와 철저한 피해 조사를 통해 국비 321억 원이라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며 “이제는 단순한 피해 복구를 넘어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예방 중심의 하천 정비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번 복구는 단순한 원상 회복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투자”라며 “앞으로도 재난에 강한 청양군을 만들어 군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군수의 발언은 이번 복구사업이 단순히 비가 오면 다시 무너질 수 있는 임시방편이 아님을 보여준다. 그는 재난 대응 체계를 군정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하천 정비를 넘어 스마트 홍수 예·경보 시스템 구축, 재해취약지 전수조사, 기후위기 대응형 방재 인프라 확충 등 중장기 전략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청양군은 이미 총 495억 원 규모의 추가 복구 계획을 중앙정부에 제출한 상태다. 이 계획에는 △재해취약 하천 구조 개선 △홍수 통제 능력 강화 △지역 맞춤형 방재 인프라 확충이 포함돼 있다. 군은 국비 확보와 지방비 매칭을 통해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재난에 강한 안전도시 청양”이라는 비전을 현실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윤양수 기자 root5858@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