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소유였던 근대식 별장 복원
조경 공사만 남아 10월 개관 예정
200m 거리 ‘을유해방기념비’ 방치
재정·부지 소유권 문제 해결돼야

보문산 근대식 별장 전경. 사진=김세영 기자
보문산 근대식 별장 전경. 사진=김세영 기자
대전 을유해방기념비가 있음을 알리는 팻말이 보문산공원 도로에 한쪽에 세워져 있다. 사진=김세영 기자
대전 을유해방기념비가 있음을 알리는 팻말이 보문산공원 도로에 한쪽에 세워져 있다. 사진=김세영 기자
대전 을유해방기념비가 있음을 알리는 팻말이 보문산공원 도로에 한쪽에 세워져 있다. 사진=김세영 기자
대전 을유해방기념비가 있음을 알리는 팻말이 보문산공원 도로에 한쪽에 세워져 있다. 사진=김세영 기자
대전을유해방기념비. 사진=김세영 기자
대전을유해방기념비. 사진=김세영 기자

[충청투데이 김세영 기자] 광복 80년을 맞은 대전 보문산에는 엇갈린 운명의 두 문화유산이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일본인 소유였던 보문산 근대식 별장은 가치를 인정받아 복원 중인 반면 광복의 상징 을유해방기념비는 비지정 상태로 방치돼 보존 우려가 나온다.

13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보문산 근대식 별장이 오는 10월 개관을 목표로 복원되고 있다.

현재 고증자료와 동일하게 복원하기 위한 조경 공사만을 남겨두고 있는 상태다.

대전시는 소나무·노간주나무 등을 식재 시기에 맞춰 별장 주변에 심은 뒤 개관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건물 전시부터 시작할 예정으로, 당장은 내부 개방 계획이 없다”며 “추후 시 관광진흥과와 논의해 문화관광해설사가 배치되면 관람객에 내부를 공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별장은 1930년대 대전 대사동 보문산 북쪽 기슭에 건축됐다.

서양식과 일본식, 한국식 건축양식이 혼재된 건물로 내륙지역의 별장 건물 보존 사례가 드물어 가치를 높게 평가받고 있다.

해방 전까지 일제강점기 대전기업 ‘후지츄 장유(富士忠醬油)’의 사장인 일본인 사업가 쓰지 긴노스케와 그의 아들 쓰지 만타로 등이 머물렀다.

2023년 3월 대전시등록문화유산에 두 번째로 등록되며 후대의 길이 남을 역사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별장과 불과 200m 거리에는 대전 광복의 상징인 을유해방기념비도 존재한다.

대전시민들이 1946년 8월 15일 광복 1주년에 직접 모은 성금으로 건립한 뜻깊은 비석이다.

당초 기념비는 대전역 서광장에 세워졌다가 1971년 대전역 확장 공사로 보문산에 이전됐다.

그러나 산 중턱 외진 곳에 안내판 없이 자리한 탓에 대전시민의 기억에서 점차 잊혀지고 있다.

보다못한 시민단체가 기념비 대전역 이전을 수년간 시에 요구 중이나 진척 없이 공회전을 거듭하고 있다.

‘대전역 서광장 재창조 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됐던 기념비 이전이 사업 답보로 동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이전과 함께 추진될 예정이던 문화유산 지정·등록 절차도 흐지부지되면서 기념비는 비지정문화유산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대전역 서광장은 코레일이 관리하는 국유지여서 시 단독으로 기념비를 옮길 수 없다. 코레일과 지속적인 협의로 이전 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다”며 “문화유산으로 지정·등록하기 위해서는 정밀조사보고서가 필요한데 시 재정 여건이 좋지 않아 올해 예산을 편성하지 못했다”며 “내년에 예산을 편성해 정밀 조사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등록 심의를 상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재정 여건이 어렵다는 시 주장과 달리 신협 운동 역사를 담은 기록물 ‘신용조합부기해설’ 등 4건은 세번째 대전시등록문화유산으로 올해 확정될 전망이다.

광복 80주년과 함께 내년이면 건립 80주년을 맞이하는 기념비가 제도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아쉬움이 나오는 이유다.

안여종 대전문화유산울림 대표는 “인근의 유엔전승탑, 별장과 달리 기념비가 잘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어 이제는 아는 대전시민이 거의 없을 정도다”며 “대전역 이전과 더불어 제도적 보호 아래서 보존될 수 있도록 기념비 국가유산 지정·등록 추진이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세영 기자 ks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