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과기부 딥테크 사업 공모 선정
로봇 전략산업화 선언 1년 만 결실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시는 로봇 전략산업화 선언 1년을 맞아 딥테크 기반 로봇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6일 밝혔다.
규제 개선, 예산 확보, 공간 인프라 구축 등 3박자를 갖춘 정책 추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비 확보와 로봇 인프라 구축 등 가시적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5년 딥테크 스케일업 밸리 육성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105억 원 등 총 136억5000만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사업은 2028년까지 3년 6개월간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사업에는 KAIST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하며, 대전테크노파크, 엔젤로보틱스, GTLAB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협력한다. 감성·감각·인지 기반 인간친화형 로봇 기술 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전주기 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 같은 성과는 시가 지난해 로봇산업을 6대 전략산업(ABCDQR) 중 하나로 지정한 뒤, 제도적 기반 마련과 함께 추진해 온 결과다. 시는 지난 3월 ‘지능형 로봇산업 육성 및 지원조례’를 제정해 행정·재정적 지원 근거를 마련했고, 4월에는 전문가 TF를 통해 ‘로봇산업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종합계획에는 클러스터 조성, 기술개발, 생태계 조성, 산업화 확산 등 4대 전략과 16개 중점과제가 포함돼 있다.
시비 346억 원이 투입되는 ‘로봇·드론지원센터’도 문평동 옛 대덕경찰서 부지에 조성 중이다. 실내 드론 비행장, 공유공장, 전시관 등을 갖춘 이 센터는 향후 실증연구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과학기술 인프라와 결합한 로봇산업은 대전의 미래 성장 동력”이라며 “기업과 기술, 인재가 선순환하는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