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왼쪽부터 대전시청, 세종시청, 충북도청, 충남도청. 
왼쪽부터 대전시청, 세종시청, 충북도청, 충남도청. 

내달 1일 개최되는 이재명 대통령과 전국 17개 시·도지사와의 첫 간담회에 이목이 쏠린다. 이날 자리는 시·도단체장이 소속된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가 이 대통령에게 중앙지방협력회의를 조속히 개최할 것을 건의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중 예정된 새 정부의 국정과제 발표를 앞두고 대통령과 시도지사들이 자리를 마주한다는 점에서 어떤 의제가 단상에 올라올지 의견이 분분하다. 시도지사들이 각기 지역 숙원사업 지원을 요청할 것이란 데는 이견이 없다.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을 위한 지역 균형발전 전략이 주의제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5극 3특’ 체제를 공약으로 내건 바 있다. 5극 3특은 전국을 5개의 초광역권(극)과 3개의 특별자치도로 재편하는 걸 의미한다. 이렇게 하면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와 산업을 분산시킬 수 있다. 국토면적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인구의 50.9%가 거주하고 있다. 지역 소멸은 가속화하고 있는 반면 수도권은 갈수록 비대해진다. 수도권과 지방이 골고루 잘사는 동반성장을 위해 머리를 맞대는 자리여야 하겠다.

5극 3특은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과 깊은 연관이 있다. 대전, 세종, 충남·북 4개 광역지자체를 연계 개발해 메가시티를 구축하는 계획이다. 전국 처음으로 특별지방자치단체인 충청광역연합이 지난해 12월 출범하는 등 가시권에 들어왔다. 이와는 별도로 대전과 충남이 행정구역 통합에 나섰다. 충남도의회는 지난달 29일 대전과 충남을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묶는 행정통합 안건을 본회의에서 가결했다. 충청권 메가시티와 대전, 충남 행정통합이 성사되면 전국 첫 사례다.

하지만 정부와 국회의 지원이 없으면 추진이 어렵다. 이날 간담회에서 추진 논리를 적극 개진해야하는 까닭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 인공지능(AI)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 청주국제공항 민간전용 활주로 건설 등 지역 현안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 첫 단추는 국정과제 반영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