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구 청년지원센터 표류]
정치권 유불리 대신 지역 미래 살펴야
명확한 비전·목표 설정해야 실효성 有
[충청투데이 권오선 기자] 유성구청년지원센터 건립을 둘러싼 갈등과 관련, 학계 안팎에서는 당리당략이 아닌 전문성과 효율성을 위해 제대로 된 방향성을 설정해야 한다고 진단한다.
최호택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유성구의 경우 다른 구와 비교했을 때도 청년인구 비율이 높은 편에 속해 센터 건립은 필요하다"며 "민간위탁 운영도 좋은 방법이지만 구에서 직접 운영하는 것이 정부의 지원을 받기에는 더 용이한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구에서 직영할 경우, 구청 공무원이 아닌 관련 전문가가 배치돼야 한다는 부가 조건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청년지원센터를 직접 운영하기로 결정된다면 무엇보다 구청 직원을 파견하는 방법이 아닌 관련 전문가들을 채용해 센터에 배치해야 한다"며 "특히 청년에 대한 지원이 적시에 이뤄지기 위해 직원뿐만 아니라 센터의 책임자도 전문가로 영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청년정책의 경우 당리당략에 따른 정책 결정이 아닌 미래를 생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 교수는 "이번 논쟁과 마찬가지로 청년정책은 정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정치권의 유불리를 따지면서 정책에 접근할 경우 앞으로 큰 비극을 가져올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청년인구가 대부분 수도권으로 이주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 진영은 정치 논리보다는 지역의 미래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며 "특히 청년 정책은 지역을 살리는 일이기에 청년들의 성장을 위해 협치의 차원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계획 수립과 운영에는 동의하나, 그전에 앞서 지원센터의 명확한 비전과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류유선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청년지원센터가 필요한 것은 맞지만 왜 만들어져야 하는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며 "유성구의 청년정책 전담부서가 있어 잘 관리할 수 있겠지만, 지원센터에서 무엇을 할지, 비전이나 목표를 정확히 설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 기존 다른 구에 있는 청년 공간의 문제점 분석해 기존 계획을 보완할 필요도 있다고 설명했다.
류 책임연구원은 "기존 대전시에 있는 청년공간들도 활용도가 낮은 편"이라며 "제대로된 운영이 안 되는 경우도 있어 다른 청년 공간을 분석해 그 이유를 찾고, 설립의 명확한 근거를 찾아야 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건립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도 미리 내다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류 연구원은 "청년지원센터의 경우 구민들의 자원이 투자되는 것이고, 명확한 비전과 목표가 없다면 설치 이후 효과가 없을 수도 있다"며 "설치 이전에 청년들이 어떤 프로그램을 원하고, 왜 원하는지 등 면밀하게 조사해 청년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오선 기자 ko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