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설계를 앞두고 있는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세종국회의사당의 규모에 관심이 쏠린다. 세종시로의 완전이전을 위해서는 적정한 업무공간이 확보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지난 14일 취임한 강주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이 23일 "대통령집무실을 세종으로 완전히 이전하는 상황을 염두에 두고 세종집무실 건설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 건설청장은 "국회의사당도 완전이전도 어렵지 않다"며 "거기에 대비하고 있다"고 피력했다.
강 건설청장이 밝힌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세종국회의사당에 대한 구상이 그대로 추진되길 기대한다. 그래야 두 기관의 부분이전이 아닌 완전이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통령 후보시절 "세종을 행정수도의 중심으로 완성하기 위해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임기 내에 건립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지난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충청 타운홀미팅에서 재차 확인했다. "제2집무실을 짓는다는 것은 (법적으로)가능하다고 하고, 국회의사장을 세종에 짓자는 것도 가능하다고 하니까 그거는 저희가 속도를 내 볼 생각"이라며 강한 추진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관건은 이전기관의 규모다. 일부이전이냐 완전이전이냐에 따라 업무공간의 면적은 달라진다. 강 청장은 이날 "부분 이전을 검토한 적이 있으나 지금은 완전 이전 시에도 문제가 없도록 세종집무실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옳은 방향이라고 판단된다. 부지확보도 문제가 없다. 대통령 세종집무실은 총 25만㎡ 확보가 가능하다고 한다. 청와대 부지면적과 비슷한 규모다. 국회세종의사당 면적은 63만㎡로 여의도 국회의사당 면적의 2배나 된다.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의사당은 설계 때 완전이전을 염두에 둬야 한다. 강 건설청장이 이날 중요한 얘기를 꺼냈다. "두 번 일하지 않도록 세종집무실을 처음 지을 때 설계부터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회세종의사당도 마찬가지다. 처음 규모를 작게 하면 나중에 더 큰 비용이 들어갈 수 있다는 점을 숙고해야 한다. 건설청은 지난해 연말 대통령 세종집무실 건설을 위한 국제 설계공모에 나섰다 계엄사태로 중단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