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논산, 국방산업도시로 뜬다
① 백년대계 위한 협치의 조건… 국방도시 논산, 산업으로 확장할 때
새 정부 들어서 방산육성 의지 강화
황명선 의원 국방위원 합류도 기회
백 시장과 시너지 땐 성공모델 기대

▲논산시내 전경
▲논산시내 전경

[충청투데이 김흥준 기자] 논산은 육군훈련소와 국방대학교, 3군 본부 등 국방 인프라의 핵심 거점이다. 논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국방군수산업도시 조성은 단지 지역 산업의 활성화에 그치지 않고, 국가 안보와 경제를 동시에 잡는 ‘이중 축’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백성현 논산시장(국민의힘)의 행정 드라이브와 황명선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의 입법·정책 지원이 맞물릴 경우, 정파를 넘은 협치의 성공 모델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본지는 이번 시리즈를 통해 3회에 걸쳐 논산의 백년대계를 위한 여건과 과제를 조명하고자 한다.<편집자주>

 

◆“국방도시 논산, 이제는 산업으로 도약할 때”

 

백성현 시장이 민선 8기 출범과 동시에 강력히 추진해온 국방군수산업도시 구상이 국가정책과의 접점을 넓혀가고 있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방위산업 육성을 위한 범부처 컨트롤타워 신설과 '방산수출진흥전략회의'의 정례화를 검토하라고 지시한 가운데, 논산은 그 추진의 최전선에 설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도시로 주목받고 있다.

방위산업의 범정부 차원 육성 흐름에 맞춰 논산시는 국방산업단지 조성과 군수물자 클러스터 구축, 방산기업 유치, 첨단기술 기반 국방산업 생태계 조성 등 전략을 다듬어왔다. 여기에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인 황명선 국회의원(논산·계룡·금산, 더불어민주당)의 입법 및 정책적 지원이 결합된다면, 논산의 국방산업은 지방균형발전의 대표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정파 아닌 전략 중심 협력으로 전환할 때”

 

정치적 스펙트럼이 다른 두 리더가 한 도시의 미래를 위해 손을 맞잡는 사례는 흔치 않다. 하지만 백성현 시장과 황명선 의원은 국방을 민생과 지역경제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궤를 같이한다.

황 의원은 최근 기획재정위원회에서 국방위원회로 상임위를 옮기고, 첫 발언에서 “병영환경 개선과 국방예산의 효율적 운용, 국방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강조하며, 논산·계룡·금산의 전략적 가치를 재차 부각시켰다. 특히 그는 “국방은 곧 민생이며, 국방 R&D 확대와 첨단 무기체계 구축은 더 이상 구호로만 머물러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는 논산시가 구상 중인 국방산업 고도화 전략과 맞물린다. 이미 논산은 국방대학교, 육군훈련소, 육군항공학교, 3군 본부 등 국방 기능이 집약된 지역이다. 여기에 국방산업의 실증 테스트베드 기능과 군수물자 생산·유통 체계를 접목시킨다면 전국 유일의 국방산업 전문도시로 도약할 수 있다.

 

◆대통령의 방산 육성 의지… 논산의 기회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8일 국무회의에서 “방위산업은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며, 국방력의 든든한 근간”이라며 방산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특히 “방산 4대 강국 실현을 위한 컨트롤타워 신설”을 언급하며 범부처적 조율 시스템을 강조했다.

논산시가 이 같은 흐름에 전략적으로 부응한다면, 단순한 지방 정책을 넘어 국가 전략의 한 축으로 격상될 수 있다. 특히 논산은 수도권 집중을 피하고 지방분권을 실현할 수 있는 방산 신산업의 적정지점으로, 국회와 정부의 전략적 투자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김흥준 기자 khj50096@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