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후년까지 클라우드 데이터 허브 구축 목표

한국수자원공사는 14일 대전 본사 세종관 50주년 기념홀에서 윤석대 사장, 임원, 전국 부서장 등 약 1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사경영회의를 진행했다. 공사 제공
한국수자원공사는 14일 대전 본사 세종관 50주년 기념홀에서 윤석대 사장, 임원, 전국 부서장 등 약 1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사경영회의를 진행했다. 공사 제공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한국수자원공사가 정부의 인공지능(AI) 3대 강국과 ‘에너지 고속도로’ 기조에 발맞춰 물관리 전 분야 AI 전환과 수자원 기반 재생에너지 확대에 발벗고 나섰다.

14일 공사에 따르면 이날 대전 본사 세종관 50주년 기념홀에서 윤석대 사장, 임원, 전국 부서장 등 약 1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사경영회의가 열렸다.

회의에서는 지난달 17일 윤석대 사장을 단장으로 출범한 ‘AI First 전략기획단’이 전사 차원의 AI 전환 전략과 추진 방향을 제시했다.

공사는 물관리 전문기관으로서 그간 축적해 온 전문지식을 디지털화해 데이터 허브를 구축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전 분야 AI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2027년까지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쉽게 오갈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업무환경과 데이터 허브를 구축하고 손쉽게 데이터를 탐색·활용할 수 있도록 생성형 AI 서비스를 물 분야 의사결정 전반에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시작으로 △실시간 수질 예측 △AI 기반 누수 탐지 △정수장 운영 자동화 △수요 예측형 산업용수 공급 등 전 영역에 AI 기술을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전략을 추진해 정부 ‘AI 3대 강국 도약’ 정책에 마중물 역할도 할 계획이다.

해외사업에도 AI 사업 모델을 적용해, 물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해외 국가 대상 컨설팅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다보스포럼에서 세계 최초 공공서비스 분야 ‘스마트 팩토리’로 인정받은 AI 정수장을 글로벌 표준으로 확산시켜 첨단 물 산업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사는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에도 발맞춰 수열·수력 등 물에너지로 산업계의 RE100 달성을 지원하고, 주민 참여형 수상태양광 사업 모델 확대로 지역 상생형 ESG 경영을 강화할 계획이다.

윤석대 사장은 “공사는 물-AI-재생에너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미래 인프라 공급을 통해 정부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새롭게 형성되는 글로벌 AI 물 산업 시장을 선도해 가겠다”라고 말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