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이재명 정부가 향후 5년 간 추진할 100대 과제 선별 작업에 본격 돌입했다. 국정기획위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는 지난 7-8일 양일간 서울정부청사에서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시도별 정책제안을 들었다.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5극 3특 권역별 성장계획, 광역권 첨단산업 육성 방안 등이 주요 의제였다고 한다. 국정 100대 과제 우선순위에 하나라도 더 선정되기 위한 시도의 치열한 경쟁이 시작됐다.
대전, 세종, 충남·북 등 충청권은 이 대통령의 공약을 중심으로 지역별 숙원사업을 정리해 국정위에 제출했다. 대전은 대전충남행정통합, 대전교도소 이전을, 세종시는 행정수도 완성을 제안했다. 충남도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 충북도는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특별법 개정과 청주국제공항 인프라 확충을 요청했다. 어느 하나 중요치 않은 게 없다. 대전, 충남이 통합하면 광역지자체 간 최초의 통합모델이 된다. 인구 360만명의 초광역경제권 탄생으로 경쟁력을 꾀할 수 있다.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는 곧 세종시 완성이다.
지자체들이 국정과제 선정에 사활을 거는 건 국비확보를 통해 숙원사업을 조속히 추진할 수 있어서다. 하지만 지역마다 적게는 4-5건, 많게는 10여건씩 제안한 점에 비춰 100대 과제에 들어가기란 결코 쉽지 않은 실정이다. 그래서 국정기획위를 설득할 수 있는 충청만의 논리를 개발해야 한다. 국정기획위와의 소통도 중요하다. 그러려면 지역 국회의원들과 유기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여야가 따로 일 수 없다. 100대 과제 성적표가 나온 뒤 책임론을 꺼내봤자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충남 공주·부여·청양을 지역구로 하는 박수현 국회의원이 국정기획위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에 지난 7일 위촉돼 기대가 크다. 대통령 지역공약을 총괄하고, 국가균형발전 청사진을 설계하는 기구의 수장을 맡은 것이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박 의원이 충청권에 애정을 보여줬으면 하는 게 솔직한 심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