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복지 접근 병행 필요성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충청권 청년층의 ‘쉬었음’ 상태가 단순 실업 문제를 넘어 사회적 고립과 은둔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일자리 제공을 넘어 심리적·복지적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9일 지역사회네트워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충청권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이나 구직 활동이 없는 ‘쉬었음 청년’은 8만 1170명에 달한다.
청년들의 ‘쉼’ 상태가 장기화될 경우 단순한 개인의 고립을 넘어 국가 잠재성장률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쉬었음 청년이 발생하는 배경으로 ‘일자리 미스매칭’을 지목했다.
김학만 우송대 사회복지학과장은 “청년들의 대학 진학률은 높아진 반면 실제 노동시장과 청년들의 눈높이 사이에 괴리가 크다”며 “AI 시대로의 전환기라는 특수성이 더해지면서 청년 쉬었음 상태로 인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심리·복지적 시각으로 쉬었음 청년을 바라봐야 한다고도 조언했다.
김 학과장은 “반복된 취업 실패는 청년들에게 심리적 좌절감을 안기고, 이는 우울과 불안, 사회 활동 중단으로 이어진다”며 “단순한 사회적 현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심리·복지적 시각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전문가들은 청년들의 ‘쉬었음’ 상태가 장기화될 경우 고립과 은둔 청년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우려했다.
박상철 지역고용네트워크 대표는 “직장에서의 부적응이나 세대 갈등 등 부정적 경험이 누적되다보니 재취업 의지를 꺾고 있다”며 “이로 인해 청년들이 점차 고립되고 은둔형 생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 쉬었음 청년 중 집 밖으로 나오지 않고, 집 안에 쓰레기나 물건이 쌓이는 등 일상 유지가 어려운 상태로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며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단계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단순 실업으로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는 쉬었음 청년에 대한 심리 회복과 정서적 안정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쉬었음’ 청년이 고립이나 은둔 상태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려면 심리 회복과 정서적 안정을 도울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단순 취업 알선 등 단편적인 지원이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 심리적 문제와 직업능력 개발 등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