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장·주민자치, 회의수당·행사비에만 수억원 집중 지원
새마을·바르게·자유총연맹엔 행사비·운영비 ‘반토막’ 수준
“같은 시민인데 왜 차별” 지원 기준 공개·개선 목소리 확산

충주시청사 전경.
충주시청사 전경.

[충청투데이 김의상 기자] 충주시가 2025년 직능단체별 예산지원 계획을 확정한 가운데, 단체 간 지원액 편차가 심각해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3일 시에 따르면 올해 직능단체별 예산 지원액은 △주민자치 5억 7515만원 △이통장협의회 5억 2886만원 △ 새마을 3억 9669만원 △바르게살기운동 1억 5948만원 △자유총연맹 1억 1053만원으로 확정됐다.

최고액과 최저액의 차이가 4억 6000만원 이상, 5배 이상 차이가 난다.

특히 회의참석수당이 주민자치(3억 7080만원), 이통장(3억 8736만원)에 집중된 반면, 새마을·바르게·자유총연맹에는 한 푼도 지급되지 않아 불공정 논란이 불가피하다.

실제 이통장은 한마음 교육행사에 6500만원, 주민자치도 주민자치 활성화 사업에 1억 2000만원 등 대규모 예산이 배정됐지만, 새마을과 바르게는 행사성 사업 예산이 1000만원~4000만원대에 불과하다.

행사성 지원에서도 격차가 크다. 주민자치 프로그램 발표회에 3000만원이 지원되는 반면, 자유총연맹의 6.25 전쟁음식 재현 행사는 400만원에 그쳤고, 어울림누리 가요제는 1000만원만 배정됐다. “같은 행사, 같은 참여인데 지원액은 3배, 10배가 넘게 차이가 난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는 이유다.

지역 직능단체 한 관계자는 “이통장, 주민자치에는 아낌없이 지원하고 다른 단체는 소액 행사비만 주는 게 관행처럼 이어지고 있다”며 “같은 시민, 같은 단체인데 이런 차별이 계속되면 누가 시를 믿고 봉사하겠느냐”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충주시는 “사업별 특성과 법적 근거, 단체 활동 범위 등을 고려해 편성한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지원 기준을 공개하고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원 형평성 논란이 매년 반복되는 가운데, 충주시가 내년도에는 어떤 개선책을 내놓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의상 기자 udrd88@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