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술인력 부족 (PG)[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기술인력 부족 (PG)[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연합뉴스 제공. 

지역 중견·중소기업들이 인력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기업 취업은 바늘구멍인 반면 중소기업들은 연중 구인광고를 내도 인력을 구하지 못해 고충을 겪고 있다. 이른바 일자리 미스매치다. 중견·중소기업의 인력 확보 방안으로 해외전문기술인력 도입이 떠오르고 있다. 필요한 인력 충원을 위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중견·중소기업 232곳을 대상으로 ‘해외전문기술인력 수요조사’를 벌인 결과 기업들은 평균 3.4명의 해외전문기술인력 채용을 희망했다고 29일 밝혔다.

채용을 원하는 분야는 전기·전자(14.3%), 시스템·SW(13.6%), 기계·로봇(10.3%) 순으로 나타났다. 건설, 농업분야에는 이미 외국인 근로자들이 많이 들어와 있다. 건설현장에서는 외국인 인력이 없으면 일이 돌아가지 않는다고 한다. 농업분야도 마찬가지다. 충남 청양군은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위한 전용 기숙사까지 문을 열었다. 내국인들이 꺼리는 3D업종 분야는 외국인들이 채우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일할 능력이 있지만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이 60만명에 달한다. 이중 30%만 산업현장에 들어와도 중견·중소기업들의 인력난은 확 해소될 것이다.

중견·중소기업은 해외전문기술인력 구인 이유로 내국인 지원자 부족(61.5%)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당연한 결과다. 내국인 지원자가 있다면 굳이 외국인 근로자를 뽑을 이유가 없다. 외국인을 채용할 경우 여러 애로사항이 있다. 먼저 의사소통이 어렵다. 기술격차를 해소해야 하는데다 조직문화도 다르다. 중소기업들이 해외전문기술인력 채용 시 정부가 직무 수행에 필요한 한국어 소통 능력 등 입국 전 현지 교육을 바라는 이유다.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인구의 노령화와 생산가능 인구 감소는 기업의 구인난을 부추기는 요소다. 여기에 청년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은 중견·중소기업을 옥죈다. 지역에서 키운 인재가 지역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돼야 한다. 언제까지 인력 수급을 해외에 의존해야만 하나.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