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소형·경량화 기술 확보 및 위성 경쟁력 강화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우주연구원이 개발해 지난 2023년 5월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3차로 발사한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핵심 임무인 국산 영상레이다(SAR) 기술검증 및 전천후 지구관측 등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5일 밝혔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에 탑재된 영상레이다 시스템은 KAIST 우주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설계·제작·지상 시험·평가를 거쳐 국산화한 기술로 지난 2년간 진행된 우주 궤도상 기술검증 임무를 이날 완료했다.
영상레이다 시스템이 100㎏급 소형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에 탑재돼 관측임무를 완수했다는 점은 우주용 영상레이다 시스템의 소형·경량화 기술 확보와 국내 위성기술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개발된 영상레이다는 전자파를 이용하는 능동 센서로, 주야간·기상조건에 관계없이 전천후 영상 획득이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으로 어두운 밤이나 구름 또는 비가 많은 기상 환경에서도 관측할 수 있어 한반도처럼 강우와 구름이 빈번한 지역의 감시에 특히 유용하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2023년 위성 발사 이후 하루 평균 3~4회 영상 촬영을 수행하며 기능점검과 기술검증을 진행했으며 현재까지 1200회 이상 지구 관측을 완료했다.
또 지난해 3월 이후에는 극지연구소 및 국립공원연구원과 협력해 2024년 3월 이후에는 북극 빙권 변화분석과 산림 영역 변화탐지를 위한 촬영을 진행 중이다.
한재흥 우주연구원장은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국산화 개발에 성공한 데에 그치지 않고 실제 환경 분석과 국가 연구에 직접 활용돼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차세대 소형위성 2호 영상레이다 데이터의 활용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KAIST가 보유한 우주 기술력과 연구진의 혁신 역량을 집약한 결과물로, 이번 성과는 KAIST가 앞으로 우주 기술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에 더 큰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신호라고 생각하고 앞으로도 이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