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전국 순회 이어 개헌 띄우기
대통령 책임 강화 권한 분산에 동의
김문수, 충청 공략·지지층 결집 호소
윤석열 탈당으로 중도 확장 재시동

16일 전북 익산, 경기 수원, 충남 천안에서 각각 유세하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왼쪽부터)·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 2025.5.16 사진=연합뉴스. 
16일 전북 익산, 경기 수원, 충남 천안에서 각각 유세하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왼쪽부터)·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 2025.5.16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6·3 조기대선 공식 선거운동 첫 일주일간 더불어민주당은 ‘대세론 굳히기’에 집중했고 국민의힘은 추격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집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빛의 혁명’ 성지인 광화문에서 유세를 시작한 이재명 후보는 수도권과 충청, 영남, 호남을 훑으며 지역 공약 등을 앞세워 유권자들과의 접촉면을 넓혔다.

특히 각종 경제 정책에 이어 18일 개헌론을 본격적으로 띄우며 남은 선거 기간 주요 이슈가 될 개헌과 관련한 주도권 잡기에도 나섰다.

후보단일화 문제로 선대위 구성 등이 상대적으로 늦었던 김문수 후보 역시 수도권과 충청, 영호남을 순회하며 전통적인 지지층 결집을 호소했다.

이어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직접 사과하고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자진 탈당하면서 중도 확장을 위한 발판도 마련했다.

이밖에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물론 이·김 후보 모두를 겨냥하며 존재감 부각에 열을 올렸다.

공식 선거운동 첫날 대전을 방문해 ‘충청의 사위’를 강조했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행정수도 세종과 과학기술도시 대전 등을 강조하며 스윙보터 역할을 할 충청권에 공을 들이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전통적인 열세지역인 TK 등 영남지역에 이어 5·18을 맞아 호남 유세일정을 이어갔다.

일단 전국을 ‘한 바퀴’ 순회한 이 후보는 18일 대통령 4년 연임 및 대선 결선투표제 도입, 국무총리 국회 추천 등을 골자로 한 개헌 구상을 밝혔다.

그동안 개헌 관련 언급에 소극적이던 이 후보는 내년 지방선거 또는 2028년 총선에서 국민투표에 부치자는 의견을 내놓으며 개헌 시기까지 언급했다.

이날 개인 SNS를 통해 개헌 구상을 밝힌 이 대표는 개헌을 통해 대통령의 책임을 강화하고 권한은 분산해야 한다는데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국무총리 임명과 관련해서는 국회 추천을 받아 임명할 수 있도록 하자는 구상도 내놨다.

또 대통령이 비상명령이나 계엄을 선포하려면 사전에 국회에 통보하고 승인을 얻도록 하는 등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를 겨냥하기도 했다.

이날 개헌 구상 발표는 대세론 굳히기와 함께 TV토론 등 향후 선거과정에서 부각될 개헌과 관련해 선제적인 입장을 내놓고 주도권을 잡겠다는 계산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역시 공식 선거운동 첫 날 대전현충원을 찾은데 이어 16일 다시 으능정이거리를 찾는 등 충청권 공략에 공을 들였다.

이후 전통적인 텃밭인 영남과 열세지역인 호남을 잇따라 방문한 김 후보는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사과하며 윤 대통령과 거리두기를 시작했다는 평가다.

단일화 과정에서 전통적인 지지층마저 흔들린 상황에서 추격과 역전을 위해서는 중도층 표심을 흡수해야 한다는 절박한 판단으로 읽힌다.

이런 상황에서 17일 윤 대통령이 전격 탈당하면서 중도 확장을 위한 최소한의 발판은 마련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특히 TV토론 등에서 주요 공격의 빌미가 될 윤 대통령과의 관계를 어느 정도 정리하면서 ‘윤석열 리스크’ 상당수를 덜어냈다는 평가다.

국민의힘 윤 대통령의 당적 문제가 지지층 분열과 중도층 이탈의 원인 중 하나로 꼽혔던 만큼 보수 결집과 중도층 공략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 후보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에게 특사를 보내고 한동훈 전 대표 등에도 ‘러브콜’을 보내는 등 내부단합에도 힘쓰겠다는 계산이다.

이를 통해 김 후보는 ‘반이재명’ 기조를 다시 강화하고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와의 연대 가능성도 이어갈 전망이다.

서울=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