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6월 3일 치러지는 21대 대통령 선거에서 ‘반드시 투표 하겠다’는 유권자가 86%에 달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526명을 대상으로 한 유권자 의식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5%포인트)에서다. 12·3 계엄 사태와 대통령 파면이라는 특수한 정치 상황이 맞물려 투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여론조사대로 투표 당일 실제 투표율이 높게 나올지 관심을 모은다.
여론조사 결과 ‘반드시 투표할 것’이라는 응답은 86%, ‘가능하면 투표할 것’이라는 응답은 10.8%였다, 적극적 투표의향을 나타낸 유권자가 역대급이다. 직전 20대 대선 당시 적극적 투표 참여 의향을 보인 응답자는 83%로 나타났다. 반면 ‘투표하지 않겠다’(별로·전혀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은 3%에 불과했다. 투표 참여 의향이 있는 유권자 중 ‘사전투표일에 투표할 것’이라는 응답은 38.6%였다.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사전투표가 투표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음을 방증해 준다.
여기서 역대 대선의 투표율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00년대 들어서 치른 대선의 투표율은 60~70%대를 오르내렸다. 2002년 16대 대선의 투표율은 70.8%로 70%를 가까스로 넘었다. 4년 후 17대 대선에서는 투표율이 63%로 떨어졌다. 이후 18대 대선 75.8%, 19대 대선 77.2%, 20대 대선 77.1%로 70% 중후반대를 기록했다. 이번 선거는 대통령 궐위에 따른 조기대선이다. 투표율이 80%를 넘을 수 있을지 그래서 관심이 더 높다.
21대 대선 비용으로 5000억원이 넘는 예산이 들어간다고 한다. 비용을 떠나 4년간 국가 운명을 좌우할 중차대한 선거다. ‘선거를 통해 나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에 유권자 73.1%가 동의한 건 큰 의미가 있다. 나의 한 표가 정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투표 효능감)고 생각한다면 참정권의 무게가 결코 가볍지 않다. 여론조사 결과가 실제 투표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