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적 위기 의대생 대다수 복귀 속 유급 대상 지지부진
교육부, 전국 의대 제출자료 취합 9일 제재 규모 발표

대전의 한 대학 의대 의학도서관이 한산하다. 2025.3.4 사진=연합뉴스.
대전의 한 대학 의대 의학도서관이 한산하다. 2025.3.4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교육부가 7일까지 학교에 복귀하지 않는 의대생을 유급 또는 제적 처리하겠다고 경고한 가운데 충청권 일부 학교의 의대생 복귀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적이 예상됐던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 수업에 복귀했지만 유급 대상인 학생들은 학교에 복귀하지 않아 대규모 유급 현실화 가능성에 힘이 실리고 있다.

7일 교육부는 충청권 대학을 포함한 전국 40개 의대를 대상으로 미복귀 의대생에 대한 처분 현황을 보고받는다.

이날 충남대의 경우 지난해 수업 거부로 학사 경고를 받아 제적 위기에 놓였던 24학번 전원이 수업에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다.

제적은 구제 방법이 없기 때문에 학생들이 전원 수업에 복귀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24학번을 제외한 타 학번은 수업 참석률이 10% 이하인 것으로 알려져 대규모 유급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충북대는 학생들의 수업 복귀 현황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학칙상 제적이나 유급 대상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대의 제적 기준은 미등록·미복학·자퇴·유급 대상자고, 유급은 예과 기준 학년 말 평균 성적 1.6 미만·본과 기준 1과목 이상 F학점이다.

학년 말 평균 성적은 내년 1월에, 본과 교과 성적은 내달 중 확정되기 때문에 학칙 기준에 따른 제적 또는 유급 대상자가 없다는 게 학교 측 입장이다.

충북대 관계자는 “교육부에 현황을 제출한 이후에도 학칙 기준에 따라 제적과 유급 여부를 판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건양대의 경우 이달 초 공개된 제적 예정자 264명 대부분이 학교로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다.

건양대는 교육부에 제적 예정자 명단을 제출하고, 내주까지 제적 예정자를 대상으로 소명서를 제출받은 후 실제 제적 여부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건양대와 더불어 을지대와 순천향대 제적 예정자 905명(각각 299명·606명)도 대부분 학교에 복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을지대는 교육부 자료 제출 이후 수업 미참여 학생에 대한 제적·유급 확정 통보를 내릴 예정이다.

교육부는 전국 의대에서 제출한 자료를 취합한 뒤 9일 유급·제적 현황을 최종 발표할 계획이다.

앞서 교육부가 학사 유연화가 없다고 못박으면서 학생들이 수업에 복귀하지 않은 학교에선 대규모 유급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5일 서한문을 통해 “7일 교육대상자를 최종 확정해 복귀한 학생들이 정상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수업 지원과 학생 보호 조치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