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파킨슨병 전략 개발 가능성 제시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국내 연구진이 파킨슨병의 핵심 병리 중 하나인 신경염증 조절에 있어 RNA 편집(RNA 염기서열을 후천적으로 변경하는 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세계최초로 발견해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KAIST는 최민이 뇌인지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영국 UCL 국립신경전문병원 연구소 및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뇌를 보호하고자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교세포에 대해 RNA 편집효소인 에이다원(ADAR1)이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파킨슨병의 병리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교세포 내 RNA 편집 조절이 신경염증 반응의 핵심 기전이라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 에이다이원이 파킨슨병 치료의 새로운 타깃 유전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파킨슨 환자의 줄기세포를 이용해 세포 모델을 구성하고 파킨슨병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진 알파시뉴클레인 응집체를 처리한 뒤 뇌 면역세포의 염증 반응 양상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알파시뉴클레인 단량체가 교세포 내 세포가 위험을 감지하는 센서처럼 작동하는 통로 및 바이러스나 병원균과 싸우는 면역 신호 네트워크인 인터페론 반응 경로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 과정에서 RNA 편집 효소인 에이다원이 발현하면서 기능과 구조 등 단백질 성질이 바뀌는 아이소폼으로 변형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에이다원의 RNA의 편집 활동이 염증을 일으키는 유전자들에 비정상적으로 집중돼 있다는 걸 발견, RNA 편집이 교세포의 만성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병리 진행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입증했다.
최민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백질 응집으로 인한 염증 반응의 조절자가 RNA 편집이라는 새로운 층위에서 작동함을 입증하는 것으로 기존의 파킨슨병 치료 근접과는 전혀 다른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었다”며 “RNA 편집 기술은 신경염증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뇌과학선도융합 우수신진연구사업과, KAIST의 대교 인지 향상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