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대학지원 부서·대전TP 업무 전담
소규모 탓 신규 사업 발굴 등 어려움
“실효성 있는 단계별 계획 수립 절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라이즈(RISE) 2025년 예산안. 그래픽=김연아 기자.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라이즈(RISE) 2025년 예산안.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올해 정부의 지역혁신중심대학지원체계(이하 RISE) 도입에 따라 대전에서도 대응 조직 마련과 신규 사업 발굴 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대전세종연구원이 발표한 ‘대전지역 수요기반 RISE협력모델 구축 방안’ 연구보고서를 보면, 현재 지역 내 RISE 관련 조직은 대전시 대학지원 전담부서와 대전테크노파크 부설 RISE센터 두 곳이다.

대전의 경우 2023년 3월 시범지역 선정에서 제외돼 지난해부터 RISE 도입 준비를 시작한 바 있다.

다만 대전테크노파크 부설 RISE센터는 현원이 7명으로 소규모인 탓에 업무 추진 동력이 다소 떨어진다는 우려가 나온다.

사업 당사자인 대학도 사업에 관심은 갖고 있지만 추진 방향과 지침이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라 대응 조직 마련, 신규 사업 발굴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올해 본격적으로 RISE사업이 시작되면서 지역 혁신 정책과 대학 재정지원사업의 연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7개 지역(충북, 경남, 경북, 대구, 부산, 전남, 전북)은 2023년부터 준비해 사업추진계획과 조직 등이 일부 갖춰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RISE 사업 추진 방향·각 과정별 추진과제를 수립해 대학이 자율적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기업 수요 분석, 앞서 수행된 기본계획 용역 결과를 토대로 한 세부 일정별 추진과제, 추진체계상 문제점 등이 검토돼야 한다고도 언급됐다.

연구진은 정책 건의를 통해 △지역주도 RISE체계 기본 방향 정립 위해 폭넓은 권한 부여 △일정 수정 기간 부여 △평가 및 환류(모니터링) 체계 구축 △지원 거버넌스 조직 구성 지원 △RISE 센터 역량 및 기능 강화 지원 등을 제언했다.

이형복 대전세종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 책임연구위원은 이번 보고서에서 “인재양성 사업을 벗어나 지역의 상황과 특성을 반영한 종합 인재 양성 체계로서 방향성을 정립해야 한다”며 “각 대학 재정지원사업 현황, RISE 준비 상황, 대응 창구 및 역량 검토를 통해 실효성 있는 단계별 계획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업수행자이며 지역인적자원 육성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대학(전문대학 포함)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전략 및 사업을 구축할 수 있도록 협의 체계 모델을 구축해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