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3일 선거일 국무회의서 확정계획
충청권, 대선서 특정진영 기울지않아
충청권 유권자 수 늘어 중요도 상승
후보자 비전·공약 중시 분위기 읽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관위원 전체회의를 열고 조기 대선 계획 및 선거 대책 등을 논의하기로 한 7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관위 모습. 2025.4.7 사진=연합뉴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관위원 전체회의를 열고 조기 대선 계획 및 선거 대책 등을 논의하기로 한 7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관위 모습. 2025.4.7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더욱 심화된 정치 양극화 분위기 속 충청권이 조기 대선 최대 승부처로 급부상하고 있다.

충청권은 그동안 보수와 진보, 어느 한 쪽에 쏠리지 않고 정치적 이념을 넘나드는 실용적 선택을 통해 대표적인 ‘캐스팅 보트’ 지역으로 분류된다.

7일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이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으로 파면 됨에 따라 차기 대통령 선거는 오는 6월 3일로 잠정 결정됐다.

정부는 8일 정례 국무회의에서 이를 공식 안건으로 상정하고 선거일을 확정·공고할 계획이다.

특히 조기 대선이라는 중차대한 정치적 변화 상황에서 충청권 표심은 대권의 향방을 가를 결정적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앞서 충청권은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특정 진영으로 확연히 기울지 않는 실용적 투표 성향으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왔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1997년 당선, 노무현 전 대통령의 2002년 승리 모두 충청권의 전략적 선택이 뒷받침됐고, 이후 대선들에서도 충청권은 정치적 균형추를 맞춰왔다.

특히 2012년 이후로는 보수와 진보 사이를 오가며 선거 판세를 좌우하는 핵심 지역으로 자리 잡았다.

때문에 충청권은 단순한 지역 연고보다는 후보자와 정당의 정책, 실천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투표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분석도 나온다.

게다가 대선에서 충청권의 중요도는 유권자 수 증가 등과 맞물려 더 커질 전망이다.

지난 1월 기준 주민등록 인구 통계를 살펴보면 지난 20대 대선 당시와 비교해 보수 진영의 핵심 지역인 대구·경북(TK) 유권자는 5만 804명 줄었고, 호남권인 광주·전북·전남 역시 4만 9563명이 감소했다.

반면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충청권 유권자는 468만 2246명에서 476만 598명으로 7만 8352명이 증가했다.

충청권의 투표 성향 변화도 주목할만하다. 과거 지역 출신 후보자에게 쏠렸던 충청권 표심은 최근 정책과 인물 중심으로 이행하고 있다.

지역주의적 투표 성향은 점차 약화되고 있으며, 유권자들은 각 후보자의 비전과 공약 실현 가능성을 중시하는 실용적 판단을 하고 있는 분위기다.

특히 젊은 유권자층은 정당보다는 정책과 사회 이슈에 대한 대응 능력을 평가 기준으로 삼으며, 고령층은 여전히 지역 연고와 정당 성향에 비중을 두고 있다.

실제 지역 민심을 들여다보면 복잡한 변화의 흐름이 감지된다.

충북 청주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50대 자영업자 이 모씨는 "이제는 지역 출신이냐 아니냐보다는, 진짜 민생을 챙길 사람인지가 더 중요하다"며 "이번 선거에서는 공약을 꼼꼼히 따져보겠다는 생각이 강하다"고 말했다.

세종시에 거주하는 한 20대 직장인은 양 모씨는 "주거 문제나 일자리 문제에 대해 누가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지가 중요하다"며 "정당보다 인물에 따라 선택할 생각"이라고 전다.

이와 관련,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각 정당과 후보자들이 충청권 유권자들을 사로잡기 위한 실효성 있는 지역 공약과 국가 비전을 제시할수록 충청권의 전략적 투표 성향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것"고 조언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