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충북지사, 2년 연속 마이너스 재산
이종원 충남자치경찰위원장 가장 큰폭 증가

공직자 재산공개[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공직자 재산공개[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고위공직자 재산이 대부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남에서는 이종원 충남자치경찰위원장이 전년 대비 40억 원 늘어난 190억8993만 원을 신고해 눈길을 끌었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7일 관보를 통해 공개한 2025년 정기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대전에서는 이장우 대전시장이 28억 6649만 원을 신고하며 전년 대비 3억4500여만 원이 늘었다. 이 시장은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대전 동구 단독주택과 토지를 매입해 건축 중이라고 신고했다.

세종의 최민호 세종시장은 19억 2069만 원을 신고해 1100여만 원이 증가했다. 본인과 배우자가 공동명의로 보유한 서울 마포구 아파트 공시지가가 9억 7400만 원에서 9억 9300만 원으로 1900만 원 올랐다.

충남의 김태흠 충남지사의 재산은 모친상으로 인한 조의금 3억 원 등을 포함해 전년보다 3억 2000만 원 증가한 16억 1600만 원으로 집계됐다.

교육감들의 재산 역시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설동호 대전교육감은 19억 8858만 원을, 최교진 세종교육감은 11억 2251만 원을, 김지철 충남교육감은 16억 8568만 원을 각각 신고했다.

이는 모두 최소 1억 원에서 최대 3억 5000여만 원까지 늘어난 수치다.

충남에서 가장 큰 폭의 재산 증가를 기록한 공직자는 이종원 충남자치경찰위원장이다. 전년 대비 40억 원 늘어난 190억 8993만 원을 신고해, 증가 폭 기준으로 전국 상위 5위 안에 들었다.

본인과 배우자의 토지·예금·비상장주식 평가액 등이 크게 상승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다.

대전 5개 자치구 청장들의 재산도 공개됐다. 박희조 동구청장은 6억 37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약 3300여만 원이 늘었다. 김제선 중구청장은 3억 700만 원을 신고해 7900만 원가량 증가했다. 서철모 서구청장은 24억 5953만 원으로 2억1300여만 원이 줄었음에도 여전히 5개 구청장 중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4억 4100만 원으로 약 1억 4500만 원이 늘었고, 최충규 대덕구청장은 21억 1202만 원으로 약 9억 3200만 원의 증가했다.

반면 충북의 경우, 김영환 충북지사는 재산이 1년 전보다 더 줄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전국 광역자치단체장 중 유일한 마이너스 재산 보유자로 기록됐다. 김 지사의 신고액은 -4억 70만원으로, 지난해 공개 당시 -8061만원에서 3억 2009만원 더 감소한 것이다. 김 지사가 신고한 재산을 구체적으로 보면 토지 7억 4028만원, 건물 67억 8819만원, 자동차 3711만원, 예금 1억 4446만원, 증권 377만원이다. 반면 채무는 81억 1454만원이다. 이 가운데 70억원은 취임 초기 서울 종로의 건물 3채 매매 계획이 취소되면서 발생했다. 충북도는 이와 관련해 “김 지사가 서울 부동산 매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범석 청주시장은 저축액 증가 및 부동산 매각으로 4억 870만원이 늘어난 17억 5108만원을 신고했다. 조길형 충주시장은 194만원이 감소한 14억 5214만원이고, 김창규 제천시장은 2억 1001만원이 빠진 10억 2919만원이다. 한편 충북지역 기초단체장 11명 중 정영철 영동군수가 지난해 대비 6억 2340만원이 증가한 93억 5332만원으로 가장 많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