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솔교사 유죄 여파 운영 주춤한 분위기
일부 교사들 “대책 마련 전까지 중단해야”
각 시·도교육청 운영 독려에도 불안 여전

체험학습 등 단체 손님 태우고 온 관광버스[연합뉴스 자료사진으로 기사 내용과 관계없음.]
체험학습 등 단체 손님 태우고 온 관광버스[연합뉴스 자료사진으로 기사 내용과 관계없음.]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속보>=전국 학교에서 현장체험학습을 꺼리는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충청권도 현장체험학습 운영이 주춤한 분위기가 감지됐다. <11일 자 5면 등 보도>

일부 교사들은 현장체험학습 안전 대책 마련 전까지 현장체험학습이 완전 중단돼야 한다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

26일 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대전시교육청과 세종시교육청은 현장체험학습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간 현장체험학습의 경우 학교 재량으로 실시돼 시·도교육청에서는 숙박형 현장체험학습만 관리해 왔다.

하지만 2022년 발생한 현장학습 사망사고로 학교 현장의 부담감이 현장체험학습 연기 또는 취소 분위기로 이어지면서 수요조사까지 나섰다.

세종시교육청 수요조사 결과 25일 기준 관할 초등학교 52곳 중 약 50%의 학교만 현장체험학습 운영을 예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시교육청은 내주 중 수요조사 결과를 확정할 전망이다.

지역교육청 차원의 수요조사가 시행되지 않는 충북과 충남도 교원단체 자체조사 결과 현장체험학습 운영에 대한 불안감과 위축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북지부가 121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96.2%가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은 충남교원단체총연합회 설문 결과 교사 2116명 중 43.2%만 올해 현장체험학습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조사에서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느낀다는 답변은 98.1%로 집계되기도 했다.

지역 교육청에서는 현장체험학습 안전 강화 등 대안을 마련해 독려하고 있다.

세종은 교원단체와 협의를 통해 안전 대책을 보강하고, 충북은 현장체험학습 안전관리 매뉴얼을 보급해 학교 밖 교육활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안전사고에 대한 학교 현장의 불안감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는 모양새다.

충남의 한 교사는 “현장체험학습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직업까지 잃을 수 있는 상황”이라며 “안전 대책이 마련되기 전까지 현장체험학습은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2022년 11월 강원 속초의 한 테마파크 주차장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버스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담임교사는 지난달 1심 재판부로부터 금고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