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건설기계지부, 옥천 학교 공사현장 대금 지급 요구
건설사 측 “하도급 업체에 줬다… 본사에 요구 맞지 않아”
[충청투데이 김의상 기자] 최근 건설업계 전반에 하도급 공사대금 미지급 사례가 늘어나는 가운데, 26일 충북 충주에 위치한 한 대형 건설사 본사 앞에서 민주노총 대구·경북 건설기계지부 소속 노동자들이 공사대금 지급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서 한상우 전략사업부장은 “시공사인 A 건설사가 지난해 충북 옥천군의 한 고등학교 및 초등학교 철거공사에 장비를 투입해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약 4억 원에 달하는 장비대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다”며 “기사 월급도 제대로 주지 못하고, 장비 할부료도 밀리는 등 생계가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고 절박한 상황을 토로했다.
특히 그는 “건설사 측이 오는 4월 초 대금 지급을 약속했지만, 다른 공종 업체의 대금을 빼서 지급하겠다는 이해할 수 없는 제안을 해왔다”며 “우리가 받아야 할 돈을 다른 이의 몫에서 빼오라는 말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 그것은 또 다른 피해자를 만드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우리가 일한 현장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해당 시공사인 A 건설사 건축본부 관계자는 “옥천의 학교 공사 현장에서 일하신 건 알고 있지만, 당사는 하도급 업체를 선정해 그들에게 공사대금을 지급했다”며 “직접 시공이 아니기 때문에 본사에 요구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이날 집회에 참여한 관계자들은 “우리가 일한 현장에 대한 책임을 시공사가 외면하고 있다”며 “오늘을 시작으로 해당 건설사 대표 자택 항의 집회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장비대금 4억 원을 반드시 받아내고, 제2·제3의 피해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사안은 단순한 민사 분쟁을 넘어, 건설업계 전반의 불투명한 하도급 구조와 책임 회피 문제, 그리고 최하위 계약자인 장비·노동자들의 생존권 위기로까지 번지고 있다.
충주 본사 앞에서 시작된 이 외침이 업계 전반에 어떤 파장을 불러올지 주목된다.
김의상 기자 udrd88@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