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11월 13일 확정… 공교육·EBS 중심 적정 난이도 출제 계획

오승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25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오승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25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충청투데이 김세영 기자]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이 오는 11월 13일로 확정됐다.

킬러문항 배제 방침은 3년째 유지되며, EBS 연계율은 50%로 EBS 교재 자료를 적극 활용해 연계 체감도를 높인다.

25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6학년도 수능 시행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전 영역·과목은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된다.

올해 수능은 학생들이 공교육 범위 내에서 학교 교육을 충실히 받고 EBS 연계 교재와 강의로 보완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를 갖춰 변별력을 높인다.

EBS와의 연계는 간접 방식으로, 교재에 포함된 도표, 그림, 지문 등 자료 활용을 통해 연계 체감도를 높일 예정이다.

2022학년도 수능부터 도입된 시험 체제에 따라 국어·수학·직업탐구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된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사회·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중에서 최대 2개 과목 선택이 가능하다.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지난해와 같이 절대평가로 치러진다.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자가 갖춰야 할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는 내용으로 출제된다.

한국사·탐구 영역 시험 수험생에게는 답안지를 분리해 별도 제공할 계획인데, 평가원은 이에 대한 안내자료를 이달 말 수능 홈페이지에 게재할 방침이다.

점자문제지가 필요한 시각장애 수험생 중 희망자에게는 화면낭독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와 해당 프로그램용 문제지 파일을 제공한다.

또 2교시 수학 영역 및 4교시 탐구 영역에서는 필산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점자정보단말기도 지급한다.

응시원서 접수는 각 시험지구별로 오는 8월 21일부터 9월 5일까지 진행되며 성적은 12월 5일 통지된다.

김세영 기자 ks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