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봄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전국 곳곳에서 우려했던 산불피해가 커지고 있다. 산림청은 충청과 호남, 영남 등의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상향 발령하는 등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서울과 경기, 강원은 ‘주위’에서 ‘경계’로 상향되는 등 전국이 봄철 산불 위험권에 놓여있는 상황이다. 충청권에서도 최근 충남 태안과 예산 등에서 산불 피해가 발생하는 등 긴장이 커지고 있다. 경남 산청에서 발생한 산불만큼 대형산불은 아니지만 강풍과 건조한 날씨에 언제든 대형산불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산불의 절반 가량은 매년 3~4월에 집중되고 있으며 피해 역시 전체 산림 피해면적의 80% 이상이 이 시기에 집중되고 있다. 최근 매년 500건 이상의 산불이 발생해 평균 4000ha에 달하는 산림이 소실되고 있다. 충청권 역시 축구장 50개 면적에 육박하는 30여㏊의 산림이 매년 산불로 인해 소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달 초까지만 해도 폭설 등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산불 발생 건수가 줄기도 했지만 본격적으로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다시 위험이 커지고 있다.
습도한 낮은 건조한 날씨와 강풍 등 기후적인 원인만 생각하면 산불은 예방이 쉽지 않다. 하지만 산불 발화 원인을 감안하면 충분히 예방하고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산림청이 분석한 산불 발화 원인은 입산자 부주의에 의한 실화, 쓰레기 소각, 논밭두렁 소각 등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 사람의 부주의가 원인이다. 다시 말하면 모두가 주의하면 상당부분을 예방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적어도 봄철 만이라도 모두의 주의가 필요한 이유다.
산불 예방의 첫 걸음은 모두의 생활 속 작은 실천이다. 산불 위험이 높은 시기에는 가급적 산에 가는 것을 지양하고 쓰레기 소각과 논밭두렁 소각 등 불법 소각을 자제해야 한다. 산에 꼭 가야한다면 라이터나 성냥, 가스버너 등 인화물질을 가져가지 않아야 한다. 농촌에서는 불가피하게 소각이 필요한 경우 지자체 신고 후 안전한 조건에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공의 자산이자 미래세대에게 물려줘야할 산림자원을 지키려면 모두의 동참이 절실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