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지난해比 3배 증가… 충청권도 올 들어 16건
산림청, 위험 커지며 위기경보 관심→주의로 상향
입산시 화기소지 금지·영농부산물 소각 대신 파쇄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충청권 대부분 지역에 건조주의보가 내려지고 연일 강풍까지 불면서 대형 산불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작은 불씨도 대형 산불로 번지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지역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24일 산림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를 기해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관심 단계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 발령했다.

이번에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가 주의 단계로 상향된 지역은 대전과 세종, 충남 천안, 충북 등 충청권을 비롯해 서울, 부산, 대구 등이다.

산불위기경보가 주의 단계로 상향 발령된 산불 발생 취약지역에는 각 지자체가 고용하는 ‘산불예방진화대’를 고정 배치하고 공무원들의 산불방지 활동이 강화된다.

올해만 해도 전국에서 90건의 산불이 발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3배를 뛰어넘었다.

같은 기간 충청권에서도 대전과 세종이 각 1건, 충북 8건, 충남 7건의 산불이 났다.

앞서 22일 오후 2시54분경 대전 동구 신상동 일대 야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산림 당국은 진화 헬기 1대와 진화 차량 13대, 인력 35명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여 2시간 만에 주불을 진화했다.

이렇듯 최근 들어 산불이 빈번히 일어나는 데에는 봄철 메마른 대기와 강풍이 원인으로 꼽힌다.

이날 오후4시 기준 대전과 세종, 충남 천안, 충북에 건조주의보가 발효된 상태다.

또 25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 순간풍속 초속 15미터 안팎의 강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산불의 경우 한번 발생하면 확산 속도가 빠르고 발생 원인의 대부분이 인위 발화인 만큼 작은 불씨도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난 10년간 충청권에서는 △대전 72건 △세종 42건 △충북 253건 △충남 383건의 산불이 나 축구장 4500여개 정도와 맞먹는 규모의 3195ha가 불에 타는 피해를 입었다.

같은 기간 산불 발생 원인으로는 입산자실화가 1862건으로 가장 많았고 쓰레기 소각(715건), 논·밭두렁 소각(677건), 담뱃불 실화(338건) 등이 뒤를 이었다.

금시훈 산림청 산불방지과장은 “강원 영동 쪽 양강지풍(襄杆之風)이 예고됐고 영토 전체 면적의 3분의 2에 건조특보가 내려져 산불발생위험이 높을 것 예상돼 산불위기경보를 주의 단계로 상향한 상황”이라며 “입산시 성냥, 라이터, 버너 등 소지를 지양하고 농촌과 산촌에서는 영농부산물을 태우면 산불의 연료가 되기 때문에 읍·면·동에 영농부산물 파쇄 지원사업을 신청해서 참여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