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3월 복귀 전제로 사실상 ‘의대 증원 백지화’ 결정
최후통첩에도 지역 의대생 휴학·신입생 수업거부 여전
현장선 의대생 복귀 ‘자조적’… “실효성 있는 대책 必”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정부가 의과대학 증원을 원점으로 돌리겠다고 제시했지만 의대생들의 반응은 미지근한 가운데 지역 수련병원에서도 추후 전공의 복귀가 확실치 않다는 우려가 나온다.
그동안 수련 특례 등 수차례 전공의 복귀를 위해 당근책을 썼지만 움직임이 미미했던 상황에서 이번 정부 발표 이후 일부 자조 섞인 반응이 감지된다.
최근 정부는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관련 브리핑’을 열고 이달 말까지 의대생이 전원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조정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는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이하 의총협)가 정부에 건의한 내용으로, 다만 이달 말까지 의대생이 학교에 돌아오지 않으면 정부의 제안은 철회될 예정이다.
정부가 의대생들에게 일종의 최후통첩을 날린 셈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의대생 대부분이 휴학을 이어가고 신입생들도 수강신청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집단 사직한 전공의들의 복귀 여부도 여전히 미지수다.
의대생들이 이번에도 정부 방침을 수용하지 않으면서 그 선배 격인 전공의들도 쉽사리 병원 현장에 복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 대전지역 수련병원에 근무 중인 전공의는 대부분 10여명 안팎에 그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말에 진행된 올해 상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대부분의 병원이 저조한 지원율을 보이자 여러 차례에 걸쳐 추가 모집을 진행했지만 결과는 같았다.
특히 의정갈등으로 전공의 비율이 높은 충남대병원과 건양대병원 등은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집단사직한 이후 입원·외래·수술건수가 급감해 한동안 경영 상황이 악화되기도 했다.
지역 수련병원에서는 의정갈등 1년으로 병원 현장이 과부화라며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지역 수련병원 관계자는 “전공의들이 요구하는 게 정부 차원에서 받아들여져야 돌아올 텐데 전공의들 중에서 일부는 단념하고 군입대에 지원하는 경우가 다수 있다고 들었다”며 “의대에서 선배들이 신입생에게 수업거부를 하도록 협박하는 일이 있는 마당에 전공의는 오죽할까 싶다. 일부는 대통령 파면 결정 이후 의대 증원이 전면 백지화가 돼야 하지 않을까 하는 의견도 있다”고 전했다.
다른 수련병원 관계자는 “의대생들을 비롯해 대부분의 전공의들은 정부가 제안한 방식이 소통에서 비롯된 결과가 아니며 강압적이라고 느끼는 것 같다”며 “지난 1년 동안 이미 병원 현장은 과부하가 왔고 환자들에게 더 이상 피해가 가지 않도록 정부는 실효성 있는 대책을 가져와야 한다”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