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1년 지역병원 상황은]
충북대병원 지난해 대비 8배 적자
세종충남대병원 전입금 지원도 난항
[충청투데이 서유빈, 함성곤 기자] 의과대학 증원을 둘러싼 의정갈등이 1년째 이어지면서 지역 상급종합병원인 대학병원들도 지난해 경영난을 면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병상가동률이 평상시 절반 이하로 떨어지면서 경영 손실이 불가피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조국혁신당) 의원이 전국 국립대병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전국 11개 국립대병원의 지난해 전체 손실액은 5662억 7898만원이다.
이는 의정갈등 이전인 2023년 손실액인 2847억 3561만원보다 2배 정도 증가한 수치다.
충청권 국립대병원의 경우 충북대병원이 지난해 418억 6281만원, 충남대병원은 334억 9600만원 적자를 봤다.
충남대병원은 전년 대비 적자폭이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손실을 보였고, 충북대병원은 8배 정도 적자 수준이 커졌다.
굴지의 국립대병원들이 적자의 늪에 빠진 데에는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집단사직한 이후 입원·외래·수술건수가 급감한 점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전공의 비율이 비교적 적은 2차 병원들에 비해 국립대병원의 경우 200여명이 넘는 전공의가 한꺼번에 병원 현장을 떠나며 더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다.
더구나 상급종합병원인 충남대·충북대병원은 전공의 집단사직 이후 중증환자 위주로 우선 수용하라는 정부 지침에 따라 병상가동률이 더욱 급감한 상황.
그런 데다가 충남대병원은 앞서 분원인 세종충남대병원을 설립하고 매해 운영 자금(전입금)을 지원해 왔는데, 입원·외래·수술건수 감소로 본원 수익이 급감해 추가 전입금 지원이 어려운 상황까지 도달했었다.
충남대병원에 따르면 세종충남대병원은 2020년 개원 이후 지난해까지 4년 동안 총 2073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충남대병원은 지난해 중순경 이러한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해 비상진료체제를 2단계로 격상하고 무급휴직(휴가) 사용 장려, 병동 및 센터 통폐합 확대, 직책보조비 100% 감축 등을 시행한 바 있다.
현재는 지난해보다 경영 상황이 다소 개선돼 연차사용 권고, 시간 외 근무 최소화 비상진료체제를 1단계로 조정해 운영 중이다.
충남대병원 관계자는 "올해 들어 본원 자체는 흑자를 보이고 있는데 세종 분원과 합쳐지면서 적자가 나는 것"이라며 "지난해에 경영 상황이 어려웠던 부분은 병원 구성원 모두 비상진료체제에 동참해 서서히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 의료계에서는 의정갈등 해결을 위해 정부와 의료계 모두 나서 확실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전시의사회장을 역임한 김영일 대한의사협회 의학정보원장은 "이제는 정부가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원하는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듣고 확실한 대책을 세워 진행해야 한다"며 "전공의, 의대생 역시 정부 제안에 대해 진솔하게 듣고 의견을 피력할 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정갈등 사태가 더 장기화된다면 정부와 의료계, 국민 모두 피해만 입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유빈·함성곤 기자 syb@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