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먹거리 가격인상이 줄을 잇고 있다. 라면, 빵, 과자, 커피 등 오르지 않은 걸 찾아보기 힘들다. 농심은 오늘부터 신라면 가격을 1000원으로 인상한다. 라면은 서민들이 가장 많이 애용하는 식품이다. 새우깡도 100원 오른다. CJ제일제당과 동원F&B는 이미 자사 제품의 만두와 스팸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파리바게뜨, 뚜레쥬르는 빵과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롯데웰푸드, 빙그레 등도 과자와 아이스크림 종류를 인상했다. 월급만 빼고 다오른다는 말이 과장이 아니다. 소비자들의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다.
한 업체가 제품가격을 올리면 다른 업체들도 줄줄이 따라 인상하는 경향이 있다. 지금의 상황이 그렇다. 일련의 식품가격 인상은 대내외적 요인에 근거한다. 업체들은 고환율, 원재료가 상승을 제품인상의 원인으로 꼽는다. 실제 그런 측면이 없지 않다. 지난해 1300원대 안팎이던 원·달러 환율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1450원대를 오르내리고 있다. 여기에 커피, 코코아 등 원재료 가격이 크게 뛰었다.
가격 인상에 앞서 원가절감이나 혁신노력을 기울였는지 살펴보기 바란다. 기업들이 손실을 줄이기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은 가격인상이다. 탄핵정국이라는 정치적 혼란기에 편승해 가격인상에 나선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가공식품 물가는 지난해 동월 대비 2.9% 올라 13개월 만에 최대 폭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소득 하위 20% 가구(1분위)의 식비 부담이 5년 새 40%나 불어났다고 한다. 1분위 가구는 소득의 40%를 식비에 썼다는 예기다.
전망도 썩 밝지만은 않다. 미국 발 관세전쟁으로 원재료 가격이 요동치고 있어서다. 이럴 때 일수록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선제적 조처를 취해야겠다. 농림식품부가 지난 13일 주요 식품기업 임원들과 간담회를 가진 건 시의적절 했다고 본다.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방안을 논의했다고 한다. 기업들은 정부의 물가안정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 대외 환경을 구실로 인상요인을 온통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기업은 외면 받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