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날 찬반 집회 격돌… 대전 도심서는 파면·재구속 촉구 결집
[충청투데이 서유빈·김중곤 기자]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을 앞두고 대전에서 KAIST 대학원생 등을 중심으로한 탄핵 찬·반 집회가 같은 날 열렸다.
11일 공공운수노조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지부는 이날 정오 KAIST 본원 정문 앞에서 ‘카이스트 탄핵 반대 시국선언 규탄 및 민주주의 수호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기자회견에서 KAIST 학부생인 방민솔 씨는 “같은 역사를 배우고 같은 윗세대의 트라우마를 공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똑같이 국회에 들이닥친 군인, 계엄 해제의 긴박한 과정, 이후 이어진 의미 없는 대통령 담화를 본 사람들이 어째서 윤석열 탄핵을 원하지 않는지 모르겠다”며 “계엄이 잘못됐고 윤석열이 탄핵 당해야 한다는 의견조차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게 아니라면 도대체 앞으로 어떻게 기후 위기, 소수자 인권, 과학을 향한 투자에 목소리를 낼 수 있겠냐”고 성토했다.
이날 탄핵 반대 측도 오후 4시경 같은 장소에서 ‘자유민주주의 체제 수호를 위한 카이스트 비상시국선언’ 집회를 열었다.
김도훈 KAIST 산업시스템공학과 재학생은 “탄핵을 반대하는 대학생의 성명이 왜 이어지는지 돌아봐야 한다.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서”라며 “민주당이 반국가적으로 탄핵을 남발하고 간첩법 개정을 반대하는 등 국정을 마비하고 있다. 부정부패의 온상인 선관위에 대해선 감싸고 있다”고 주장했다.
탄핵 반대 집회에서 한 참가자는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로 대한민국이 처한 위기를 알게 됐다. 계엄령은 계몽령”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 대전지역 46개 시민, 사회, 종교단체가 모인 윤석열정권퇴진대전운동본부도 이날 오전 은하수네거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 대통령 파면 및 재구속을 촉구했다.
단체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지난 7일 법원은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해 구속취소 판결을 내리고 시간 단위로 구속 기간을 계산하겠다는 이해할 수 없는 판결에 검찰이 항고를 포기하면서 윤석열이 구치소에서 석방됐다”며 “이번 결정은 내란범죄의 중대성과 국민 안전을 전혀 감안하지 않은 채 내려진 치명적 오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장우 대전시장이 검찰의 항고 포기 이후 SNS에 ‘법치가 살아있다’, ‘사필귀정’이라는 문구를 올린 것은 내란수괴 윤석열의 불법계엄을 옹호하는 명백한 극우 선전”이라고 덧붙였다.
이들 단체는 이날 은하수네거리에서 진행한 기자회견과 ‘윤석열 파면촉구 집중 캠페인’을 시작으로 윤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정 시까지 대전 농성단을 꾸려 철야 농성을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또 당초 매주 주말에 개최하던 대전시민대회는 이날부터 오는 14일까지 매일 오후 7시경 은하수네거리에서 ‘윤석열 파면촉구 대전시민대회’라는 이름으로 전개할 예정이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