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소상공인 경영 자금 지원 확대
재무컨설팅 형태로 접근 수수료 요구
수수료 요구시 100% 브로커 의심해야

불법 브로커로 의심되는 한 업체의 블로그.
충남신용보증재단의 불법브로커 주의 팝업창. 충남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
충남신용보증재단의 불법브로커 주의 팝업창. 충남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 충남 논산의 한 요식업체 대표 A 씨는 최근 중소벤처기업부 인증을 받았다는 재무컨설팅 업체 B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B업체는 A 대표에게 지자체의 정책자금 신청은 물론 경영컨설팅을 제공해 준다며 자세한 상담을 받아보라고 제안했다. 이후 A 씨는 B업체의 직원과 상담을 진행했으나 대출을 도와준다며 착수금을 요구하는 게 이상해 충남신용보증재단에 문의한 결과, 공적 보증기관은 보증료 외에 수수료가 들지 않는다는 설명을 듣고 가까스로 피해를 면할 수 있었다. A 씨는 “브로커일 줄은 상상도 못 했다. 하마터면 컨설팅 수수료 수 백만 원만 사기 당할 뻔 했다”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소상공인의 경영 정상화를 위한 지자체 등의 자금 지원이 확대되면서 이를 노린 재무컨설턴트(대출브로커)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이들은 대출 알선 등 직접적인 불법 행위를 피해 노무, 세무, 경영컨설팅 제공 등 서비스 제공 형태로 계약을 요구하고 합법과 불법을 넘나들며 소상공인들을 울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전시와 충남도 등은 내수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위해 저금리 특별자금 등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 중 충남은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 지원 특별출연’을 통해 705억 원 규모의 신용보증을 제공하고, 지난해 매출 1억 400만 원 미만의 업체에게는 50만 원의 현금이나 지역사랑상품권을 지급한다.

충남신용보증재단은 역대 최대규모인 약 9500억 원의 신규 보증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지자체나 공적 보증기관의 자금 지원이 확대되면서 소상공인들에게 대출 안내 등을 빌미로 접근하는 브로커들도 급증하고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충남도의 소상공인 경영 안정화 자금 신청 현수막. 사진=권혁조 기자.
충남도의 소상공인 경영 안정화 자금 신청 현수막. 사진=권혁조 기자.

특히 이러한 브로커들은 서류 위조나 대출시 고액의 수수료 요구 등 직접적인 불법행위 대신 컨설팅 명목으로 수수료를 편취하고 있는 탓에 정확한 피해 규모도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과거 대출을 중개해 주고 보험 계약을 요구하거나 수수료를 요구하는 수법에서 종합 컨설팅에 대한 대가 제공 형태로 수법을 지능화한 것이다.

또 계약서 작성시 위약금을 물어내야 하거나 컨설팅을 위한 개인정보 제공으로 2차 피해 우려 탓에 피해 사실을 밝히기도 어렵다.

관계자들은 시·군 지원금이나 공적기관의 자금 신청시에는 최소한의 보증료 외의 비용은 전혀 들지 않는다며 수수료를 요구할 경우 100% 브로커로 의심해도 된다는 설명이다.

임선호 재단 서부사업본부장은 “브로커가 개입한 경우로 의심되면 대출·보증을 거절한 후 소상공인이 직접 신청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지만 이들을 근절할 방법은 사실상 없는 실정”이라며 “컨설팅 대가 등을 요구할 경우 의심해 보고, 가까운 재단에 문의하면 대출 신청은 물론 종합 컨설팅까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