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난 2023년 14명의 희생자를 낸 충북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는 행정당국의 형식적인 안전관리에 대해 경종을 울린 사례로 기억되고 있다.
현장과 동떨어진 매뉴얼을 비롯해 유관기관간 사고 전파 미흡, 제방공사 시공사와 발주처의 안일한 관리·감독 등 총체적 안전의식 결여가 빚어낸 인재이기 때문이다.
179명의 안타까운 생명을 앗아간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역시 부실한 안전관리가 주범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처럼 안전관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고, 법적 규정 이상의 조치를 취한다 해도 비난받을 일이 아니다.
그러나 오송참사를 겪은 충북도는 아직도 안전불감증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김영환 충북지사의 제안으로 추진되는 오송역 선하부지 복합문화시설 조성사업 과정에서 기초적인 화재 예방 조치가 배제됐기 때문이다.
충북도는 39억원 정도가 투입되는 오송역 선하부지 복합문화시설 조성사업 추진 과정에서 법적 의무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앞세워 화재 발생시 초기 진화시설인 스프링클러 설치를 제외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중이용시설이지만, 관련법상 스프링클러 의무설치 대상이 아닌 가설건축물이기 때문이라는 게 도의 설명이다.
이는 외형적 이유일 뿐 내부적으론 사업비가 부족해 스프링클러 설치 필요성에도 이를 제외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프링클러가 대형화재를 막는 초기 진화시설로 입증된 사례는 최근 발생한 경기도 성남시 복합상가 화재 사고 과정만 봐도 명확하게 확인된다.
오송역 선하부지 복합문화시설은 다중이용시설이기도 하지만, 오송역사와 철도, 교량의 안전과도 직결되는 시설물이라는 점에서 안전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국내외 사례만 봐도 교량 하부 화재로 인해 교량이나 철도가 손상돼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김 지사와 도는 치적 내세우기에만 급급, 시설물 안전관리는 외면한 행정으로 오송역 참사의 교훈을 망각하고 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려운 이유다.
관련 법규에 위배되지 않았으니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했다고 반박한다면, 안전관리 의식에 얼마나 안일한지를 고백하는 일이나 다름없다.
따라서 이제라도 각종 행정 추진 과정에서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을 개선, 도민의 생명과 안전에 최선을 다하길 촉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