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지난해 말 사업비 확보, ETRI와 위·수탁 계약
2028년까지 3년간 대덕특구~반석역~세종터미널 왕복
세종, 충북 이어 전국 최초의 광역 자율주행버스 완성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대전시가 연말부터 자율운행버스 운행을 개시하며 충청권 자율주행 상용화지구(시범운행지구)가 완성될 전망이다.
8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대전시 자율주행 상용화지구 조성 사업 업무 위·수탁 협약’을 체결했다.
충청권 자율주행 상용화지구는 2020년 12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초광역협력사업으로 지정되며 첫발을 뗐다.
시·도 간 경계를 넘나드는 전국 최초의 자율주행버스로 기대를 모았는데, 그동안 실제 운영은 충북과 세종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2022년 11월 충북 오송역과 세종터미널을 오가는 1단계 사업이 시작됐고, 이듬해 12월 2단계로 대전 반석역까지 노선이 확대됐다.
대전에도 자율주행버스가 정차하긴 했지만, 투입된 4대 모두 엄연히 세종시와 충북도의 사업으로 마련됐다.
또 2023년 12월 추가 지정된 3단계(청주공항~오송역~세종터미널~반석역~대덕연구개발특구) 사업도 노선 중 대전시 사업 범위인 대덕특구에만 자율주행버스가 오가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대전시가 지난해 말 추가경정예산으로 사업비를 확보하며 충청권 자율주행 상용화지구가 마침표를 찍을 수 있게 됐다.
대전시 사업 구간인 대덕특구~반석역~세종터미널 왕복 노선이 올해 말이면 본격적인 운행에 들어갈 전망이다.
대전 자율주행버스는 2대 배치돼 하루 4회 왕복하며, 요금은 기존 버스와 동일해 성인 기준 카드 1500원으로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운행 기간은 2025년 말부터 2028년까지 3년이며, 이후 검토를 거쳐 연장 운행될 수 있다. 자율운행 단계 중 레벨3에 해당해 운전석에 안전요원이 탑승한다.
대전시는 ETRI와 위·수탁 계약으로 지역 자율주행 상용화 사업에 지역업체의 참여 기획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인 ETRI가 관련 기술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기에, 해당 기술이 부족한 지역 여객·운송업체도 자율주행사업에 협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역업체도 자율주행 기술을 배우며 대전의 자율주행 산업 생태계가 조성,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이 대전시의 설명이다.
사업을 수탁받은 ETRI는 일반전기버스 구입 및 자율주행버스 개조, 시범운행 3~4개월 등 운행에 필요한 사전 작업을 밟을 예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국내에 자율주행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업체가 10여곳으로 아는데 대전에는 없다. 충북, 세종처럼 입찰로 업체를 선정하면 타 지역의 업체가 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완전자율주행 시대가 올 텐데, ETRI를 통해 정주기업과 협업하며 미래모빌리티 산업생태계를 조성하면 좋겠다는 판단이다”고 덧붙였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