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즉각 체포” 야권 압박수위 높여
기습 메시지 관련 ‘내란 선동’ 비판도
경호 유지 가능성에 물리적 충돌 우려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현직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헌정 사상 최초로 발부된 가운데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이 가시화 되면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체포영장 시한은 6일까지지만 이르면 2일부터 영장 집행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에 한남동 관저 주변은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집결해 혼란스러운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 야권은 공수처 등 공조본의 체포영장 집행을 압박하고 있지만 경호처가 윤 대통령에 대한 경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충돌 우려도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법원이 발부한 체포영장을 신속하게 집행해야 한다며 공조본은 물론 경호처까지 압박하고 나섰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2일 “사태가 일어난 지 한 달이 됐지만 내란 수괴 윤석열은 관저에서 지내며 내전을 선동하고 있다"면서 "공조본은 체포영장 집행을 미루지 말고 오늘 곧바로 체포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경호처를 향해서도 “공무집행을 방해하지 말고 체포영장 집행에 순순히 협조하라”면서 “대한민국 전복을 기도한 내란 수괴의 체포를 방해하는 것은 내란 공범임을 자백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또 윤 대통령이 지지자들을 향해 끝까지 싸우겠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낸 것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극우 세력 동원령으로 한남동에 증원군을 보내달라는 것이며 요새에 틀어박혀 수성전을 펼치겠다는 선언"이라고 지적했다.
조국혁신당 역시 윤 대통령이 지지자들에 편지를 보낸 것과 관련해 즉각적인 체포영장 집행을 촉구했다.
김선민 당 대표 권한대행은 "잠시라도 관저에 놓아둬서는 안 될 위험한 사람"이라며 "공수처는 1분 1초라도 빨리 체포영장을 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야권의 이같은 압박에도 경호처는 ‘적법절차’를 강조하며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체포영장 집행에도 경호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대통령 신변 보호가 주 책무인 경호처가 쉽게 관저 문을 열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원론적인 입장만을 재확인 하고 있어 기존처럼 수사 기관의 집입을 막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공조본 체포영장 집행 시 경호처의 경호 유지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물리적 충돌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현재 관저 입구에는 질서 유지를 위한 바리케이드가 설치돼 있고 대통령 탄핵 찬반 지지자들이 모여들어 혼잡한 상황이다.
공조본이 영장 집행을 위해 관저 진입을 시도하고 경호처가 이를 저지할 경우 인근에 있던 찬반 지지자들을 자극할 수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이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