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시대 오며 경추 퇴행성 변화 가속화
방사통 있을시 검사 必… 목 등 스트레칭 중요
[충청투데이 이재범 기자] 우리의 척추는 크게 경추, 흉추, 요추로 나뉘는데 이중 경추가 가장 움직임이 많은 부위다. 그래서 척추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하는 디스크의 퇴행성변화가 다른 부위보다 잘 생긴다. 특히 현재 전 세계적으로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고 개인용 컴퓨터(PC)의 보급화 및 스마트폰 시대에 접어들며 경추의 퇴행성 변화가 가속화돼 질환의 발병률을 크게 증가시켰다.
경추 디스크 및 협착의 주요 증상은 아래와 같다. 먼저 뒤 목 불편감 및 통증이 있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 환자들이 내원 시 목에 담이 걸린 것 같이 아프다고 하며 목의 움직임에 따라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방사통이다. 방사통이란 신경이 직접적으로 압박, 자극, 또는 손상을 받아 자극이 된 신경이 관할하는 영역까지 퍼지는 통증을 말한다. 목디스크나 협착으로 인해 신경이 자극됐을 시 환자는 대개 목부터 날개 뼈 뒤쪽 또는 팔까지 아래로 이어지는 저림, 찌릿하게 전기 오는 듯한 느낌, 통증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심할 경우 손가락까지 퍼질 수 있다.
방사통이 있을 시 목 디스크 탈출 또는 협착을 의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증상이며 목통증과 같이 있을 시 병원에 내원해 자세한 검사가 꼭 필요하다.
경추질환의 진단 방법은 임상검사와 영상 검사 등이 있다. 고개를 뒤로 살짝 젖히고 좌 우 중 방사통이 있는 방향으로 머리를 기울이고 눌렀을 때 방사통이 유발 또는 극대화된다면 경추 디스크 또는 협착을 의심해봐야 한다. 목을 앞으로 구부릴 때 척추를 따라 전기 충격 같은 통증 또는 척수의 직접적인 손상이 진행되는 척수병증을 의심해야 하며 이는 응급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영상 검사의 경우 X-ray 검사로 경추의 정렬 상태, 일자목 또는 거북목 여부를 확인한다. MRI를 통해 디스크 탈출 정도, 신경 압박 및 협착 상태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경추 질환의 치료 방향 및 수술 여부를 결정하려면 필수적인 검사다.
경추질환의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비수술적 치료는 물리치료 및 견인치료, 주사치료, 신경차단술, 신경근 차단술, 경막외강 신경박리술 등으로 구분된다.
수술적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이 없거나 신경학적 증상이 심할 경우 고려된다. 주로 전방유합 및 고정술(ACDF), 인공관절 치환술(TDR), 후방 추간공 절개술 등이 주로 활용된다. 이 같은 경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평상시 주의점에는 생활습관 관리, 높은 베개 사용 금지, 목을 뒤로 젖히는 스트레칭 습관화, 스마트폰을 눈높이로 올려 사용, PC 모니터 높이를 전방 주시하는 높이보다 약간 높게 해 시야가 약 5도 정도 위로 볼 수 있게 조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자세 교정과 장시간 앉아있을 때 고개를 앞으로 내밀지 않도록 주의할 것, 주기적으로 목과 어깨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움말=소진섭 천안우리병원 척주센터 진료과장
천안=이재범 기자 news7804@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