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계엄 후폭풍]
“거대 야당 국정문란” 하야 거부
한동훈 “내란 자백… 명확해졌다”
김영환 “절차 통해 문제해결을”
“제2의 계엄” “발악” 평가 절하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안 국회 2차 표결을 이틀 앞둔 12일에 발표한 대국민담화가 오히려 탄핵민심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된 형국이다.
윤 대통령은 담화에서 12·3 비상계엄 선포 배경을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탓으로 돌리고 "탄핵을 하든, 수사를 하든 당당히 맞서겠다"고 밝혔다.
한동훈 대표와 한덕수 국무총리 등 정부여당 일각에서 요구한 ‘질서 있는 퇴진’, 즉 하야를 정면으로 거부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거대 야당이 거짓 선동으로 탄핵을 서두르는 이유가 무엇이겠느냐"며 "거대 야당 대표의 유죄 선고가 임박하자, 대통령의 탄핵을 통해 이를 회피하고 조기 대선을 치르려는 것, 단 하나"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겨냥해 "국가 시스템을 무너뜨려서라도 자신의 범죄를 덮고 국정을 장악하려는 것"이라며 "이것이야말로 국헌문란 행위"라고 역공했다.
야권은 말할 것도 없이 여권에서도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분출했다.
한 대표는 "사실상 내란 자백 취지의 담화"라며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없다는 점이 더욱더 명확해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탄핵 절차로서 대통령의 직무집행을 조속히 정리, 정지해야 한다"며 당에 찬성 당론 결정을 요구했다.
그동안 말을 아끼던 같은 당 김영환 충북지사도 "더 이상의 혼란을 막고 민생안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국회에서 헌법에 규정된 절차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에둘러 탄핵 찬성 입장을 나타냈다.
김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에 "이번 사태에 대해 참담한 심정과 책임감을 느낀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헌법기관인 국회의원들은 책임감을 갖고 탄핵표결에 임해야 한다"고도 했다.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들에는 윤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를 두고 "제2의 계엄 선포"라며 14일 예정된 국회 탄핵안 표결에서 "반드시 탄핵해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졌다.
또 이 담화가 "태극기부대를 동원해 촛불시민과의 충돌을 고의로 발생시켜 다시 한번 계엄을 발동하기 위한 책략"이라며 "(탄핵촉구) 집회 참여 때 충돌에 대한 사전공지가 필요하다"고 글도 올라와있다.
이밖에 "대국민 선전포고", "마지막 발악" 등 평가절하한 글과 그에 대한 동조 댓글이 이어졌다.
충북도청 서문 앞에서는 매일 오후 6시30분부터 탄핵촉구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충북비상시국회의는 2차 탄핵안 표결이 실시되는 14일엔 오후 4시부터 이 집회를 열 계획이다.
탄핵 찬성 측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지난 7일 1차 표결에 불참한 이종배(충주)·엄태영(제천·단양)·박덕흠(보은·옥천·영동·괴산) 등 충북지역 국민의힘 의원들의 전화번호를 공유하며 항의를 독려하고 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