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건설이 올해 힘겨운 나날을 보냈다. 불확실한 경제상황 속에 수주 제로 건설사들이 속출하고 자금 유동성 문제를 겪는 건설사가 그 수를 늘려가면서 올 한해 충청건설은 생존문제에 직면했다. 여기에 지난주 충청건설은 예기치 못한 계엄 날벼락을 맞았다. 현재도 어려운데 예기치 못했던 계엄 사태는 충청 건설산업 전반에 핵폭탄급 악영향으로 작동하고 있다. 충청 건설업계는 계엄 사태가 이미 불황이 드리워진 건설산업계 전반적인 장기침체로 이어지지 않을까 노침초사하고 있다. 건설사들마다 세밑인 12월에는 내년도 발주 예상 물량을 체크하고 내년도 주력 수주 사업들을 계획하는 달이지만 모든것이 올 스톱됐다고 전한다. 윤석열 정부가 마련한 부동산 뿐만 아니라 건설정책 전반적인 수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되고 상당부분 백지화가 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내년도 계획을 잡을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특히 분양 사업자들은 더욱더 심각한 상황이다. 분양예정인 사업자들은 주택사업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공급시기 자체를 가늠하지 못하며 사태추이만 살필 뿐이다. 정부 주도 신규 건설산업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정부는 계엄 사태 이후 기존 노후계획도시특별법과 도시재생 사업을 지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내놨지만 건설계에서는 추진 가능성 여부에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그도 그럴것이 윤석열 정부가 정해진 임기를 다 못채울 가능성이 커진 상황속에서 정부의 지속 추진 의지를 믿기 어려운게 현재 닥친 현실이다. 공공 건설사업, 민간 건설사업 모두 불확실성이 엄습하고 있다.
공사를 수주하고 진행하는 건설사들도 이번 계엄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엎친데 덮진격으로 올 한해 가파르게 상승했던 건설자재 값이 또 다시 상승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환율 급등으로 철근 등 수입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이는 곧 공사비 증가로 이어질 것이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갈수록 건설환경이 악화일로를 겪으면서 수익을 낼 수 있을지 혹여 마이너스 공사를 안고 가야하는 것 아닌지 노심초사하고 있다. 모든것이 불확실한 현재 상황이 원인이다. 하루속히 불확실성을 걷어내는 것만이 가뜩이나 어려운 건설산업을 안정시킬 수 있는 길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