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1월부터 보조금 관리시스템(보탬e) 도입
기본 교육 부재로 수급단체·고령층 어려움↑
재교육 없이 하위직 직원에게 업무 배정시켜
도입 초기부터 교육 필요·군 "지원 강화할 것"

청양군청 전경 [청양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청양군청 전경 [청양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윤양수 기자] 청양군에서 시행되고 있는 보조금 관리시스템(보탬e)에 대한 운영·교육 부재로 인해 지역 내 수급 단체와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취약계층인 고령층이 많은 지역 특성상, 시스템 사용법에 대한 교육이 미흡해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군은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라 올해 1월 수작업으로 처리되던 지방보조금 관리 업무를 전자화·자동화한 '보탬e 시스템'을 전면 개통했다.

보탬이(e) 시스템은 행정 업무를 간소화하고 수급 단체의 효율적인 관리와 지원을 목표로 도입된 전산화 플랫폼이다. 그러나 시스템 사용에 필요한 기본적인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방보조금 관리 업무를 무리하게 시행하다 보니, 수급 단체와 고령 사용자들은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청양군 내 한 수급단체 관계자는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해서 기대가 컸지만, 제대로 된 교육이 없어 처음부터 막막했다. 특히 나이가 많은 분들은 컴퓨터와 친숙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자체를 이해하기조차 어렵다"고 호소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문제가 생기면 도움을 요청할 곳이 명확하지도 않아 결국 각 단체가 독자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실정"이라며 "이는 기존의 오프라인 방식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시스템이 바뀐 뒤 오히려 일이 몇 배로 늘었다"고 지적했다.

청양군은 사정이 이러한데도 이를 해소키 위한 운영방안 마련과 올바른 교육을 실시하지 않고 하위직 직원에게 업무를 배정해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청양군은 고령화 비율이 전국에서도 높은 수준으로, 디지털 격차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번 시스템 도입 과정에서도 고령층을 고려한 충분한 교육과 지원이 이뤄지지 않아, 디지털 소외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전환이 행정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하지만, 사용자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시스템 도입 초기 단계에서부터 교육을 통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청양군 관계자는 "시스템 도입 초기에 홍보와 교육이 부족했던 점이 있었다"며 “보탬이(e) 시스템을 원활히 운영하기 위해 사용자들의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고, 고령층 사용자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윤양수 기자 root5858@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