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전국동시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上. 사상첫 동시 선거 카운트타운
中. 10조 규모 충북 51곳 수장 선출
下. 복마전 금고 선거 투명해질까
上. 사상첫 동시 선거 카운트타운
협동조합서 출발… 공적 역할 확대
이전까지 80%가량 간선제로 선출
대의원 매표행위 사회적 문제 비화
[충청투데이 이용민 기자] 내년 3월 5일 치러지는 1회 전국동시새마을금고이사장선거가 25일 기준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남양주동부새마을금고 부실대출 사건 여파로 뱅크런(집단 인출)이 발생하는 등 신뢰성에 타격을 입었다. 갑질사건 등 임직원의 도덕적 해이가 여론의 도마에 오르면서 쇄신요구가 커졌고 경영 개선에 나섰다. 이사장 선거 역시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외부기관에 위탁해 동시에 치르게 됐다. 바뀐 선거제도를 알아보고 그간 논란이 됐던 금권선거 등 불합리한 사례를 일소하고 새마을금고의 신뢰 회복의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전망해본다. <편집자 주>
새마을금고는 향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1963년 경남지역에서 태동했다. 이후 ‘상부상조’의 정신을 바탕으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상호금융기관으로 성장해왔다. 지난 6월말 기준 전국의 새마을금고수는 지역금고 1187개, 직장금고 97개 등 1284개로 2만 9990명의 임직원이 일하고 있다. 총자산은 288조 9000억원에 달한다.
협동조합에서 출발했지만 지역공동체와 국민경제의 발전에 끼치는 영향이 큰 만큼 공적 영역으로 그 위상과 역할이 확대됐다. 이에 따라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힘을 얻었고 금고 경영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이사장 선거에 대한 개선 요구도 커졌다.
이전까지는 전체 80% 가량의 금고에서 간선제 방식의 이사장 선출로 선거부정 등이 발생했다.
자체적으로 선거를 진행하다보니 지난해 충북의 한 새마을금고이사장선거에서는 결선투표에서 A후보자가 B후보자보다 15표 더 득표해 당선됐지만 B후보자가 투표권 없는 회원이 투표했다고 이의를 제기해 조사결과 무자격자 32명이 투표한 것으로 나와 재선거가 치러졌다.
특정 후보자가 일정 수 이상의 대의원들과 유대감을 쌓아 이른바 ‘친위대’를 꾸리면 선거에 당선될 수 있어 대의원 대상 매표행위가 사회적 문제로 비화되기도 했다.
이번 동시선거는 선관위 위탁이 의무화되고 자산 2000억원 이하 소규모 금고를 제외하고 직선제로 치러진다. 또 예비후보자제도가 도입되고 선거운동방법이 다양해져 기존 ‘깜깜이 선거’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보자 범죄경력 게재도 의무화돼 유권자들이 보다 올바른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도내 새마을금고가 운용하는 총 자산은 약 10조원에 달한다. 지역경제의 중요한 한 축인 새마을금고의 수장을 잘 고르려면 일부 친위대에 선거가 휘둘리지 않도록 금고의 주인인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투표에 참여하는 게 중요하다.
조승호 충북선관위 홍보과장은 "직선제로 치러지는 만큼 투표율이 관건이다. 국민들이 관심을 가져야 공정하고 깨끗한 선거가 정착될 수 있다"며 "선관위도 엄정·공정하게 관리해 국가와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용민 기자 lympu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