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명칭 피해자 접근성 저해
‘폭력피해상담소’ 명칭 선호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도내 폭력피해 상담소의 시설 명칭을 일원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가정 폭력·성폭력·장애인 성폭력 상담소 등의 명칭은 피해 사실을 유추할 수 있는 탓에 오히려 피해자들의 접근성 저하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고, 신종범죄 등 폭력피해 유형도 다양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충남도의 온라인 도정 소통창구 ‘서로e음’은 지난 9월 23일~10월 22일에 걸쳐 총 1849명의 도민패널을 대상으로 ‘충남 폭력피해 통합상담소 시설명칭 선호도’를 조사했다.
충남은 폭력피해자 보호·지원을 위해 15개 시군에 통합상담소, 가족상담센터, 폭력예방상담소, 성폭력상담소, 가정성통합상담센터, 성인권상담센터 등 폭력피해 상담소 등 총 23개의 폭력유형별 상담소를 두고, 38곳의 폭력피해자 보호·지원 시설에 지난해 기준 134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통합상담소, 가족상담센터, 폭력예방상담소, 성폭력상담소, 가정성통합상담센터, 성인권상담센터 등 폭력피해 상담소 등 명칭이 다양하게 운영되는 탓에 접근성과 인지도 측면에서 약점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최근 약물이나 디지털을 이용한 신종 범죄가 증가하면서 다변화하는 폭력 피해에 적극적인 대응 필요성도 높아졌다.
이에 시설명칭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1순위로 시군명 폭력피해상담소(30.7%), 충남 폭력피해상담소 시군명센터(26.4%), 시군명 가정폭력·성폭력 통상담소(24.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1순위 선정 이유로 시설의 기능 인지 용이, 지역 확인 용이, 타인의 시선에 구애받지 않고 시설 이용 등을 꼽았다.
양경모 충남도의원(국민의힘·천안11)은 "신종 범죄나 복합피해 등 폭력피해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면서 폭력피해 상담소에서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번 충남형 폭력피해 통합상담소 시설 명칭 지정을 통해 다변화하는 폭력 피해에 적극 대응하고 사각지대 없는 피해자 보호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