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차례 기한 연장에도 불과 57.5만명
충남 외 전국민 참여 가능한데도 외면
온라인서 중복투표 가능해 집계 의문
道, 중복투표 관련 “추후 제외할 것”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충남도의 국립의대 신설을 위한 ‘범도민 100만명 서명운동’이 총체적인 난국을 겪고 있다.
서명에 참여한 수는 당초 목표대비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윤석열 대통령의 ‘지역 의과대학 신설’ 공약 이행을 촉구하기 위해서는 충남 전 지역은 물론 전국 출향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지만 공주와 예산 등 일부 도내 지역 위주로 서명운동이 전개되고 있는 탓에 범도민의 염원을 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심지어 온라인 참여는 실명확인 등의 절차 없이 무제한 중복투표가 가능해 실제 참여 인원 집계에도 의문이 제기된다.
4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8월 1일부터 ‘국립공주대 의과대학 신설 100만 범도민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당초 지난 10월 31일까지 서명운동을 진행할 계획에서 연말까지 기한을 연장했음에도 서명운동에 참여한 수는 4일 오후 2시기준 57만 5956명(57.59%)에 그치고 있다.
목표 대비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213만 충남도민과 출향인은 물론 충남에 거주하고 있는 타 지역민 등 전 국민의 참여가 가능함에도 서명운동은 사실상 도민들의 외면을 받고 있는 것이다.
참여 방법을 보면 지난달 30일 기준 56만 3098명 중 온라인 52만 7948명(93.7%), 오프라인 3만 5150명(6.2%)이 서명에 참여했다.
문제는 서명운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온라인 참여는 횟수에 관계없이 중복참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불특정 다수가 허위정보를 입력해도 서명운동에 참여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는 것이다.
충남은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전국 최저 수준인 1.5명에 불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3.7명은 물론 우리나라 평균 2.1명과 비교해도 턱없이 부족하고, 예산, 태안, 청양, 당진, 계룡 등은 1000명당 활동 의사 수가 1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범도민의 국립의대 신설 염원을 전달하기 위한 서명운동이 참여인의 정보 확인 등 ‘질’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참여인 수까지 목표에 못 미치는 ‘양’적 문제까지 총체적 난국을 겪고 있는 것이다.
도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만 시스템상 부득이한 면이 있고, 과도한 중복 참여로 보이는 경우 집계에서 제외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중복 참여 여부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도 관계자는 "서명운동 기한을 연장한 것은 국립의대 신설과 관련한 연구용역이 내년 초에 끝나 시기적으로 (서명운동 종료 시점을) 맞춰 정부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며 "중복 참여가 가능한 문제는 시스템상 실명확인 등이 어려운 점이 있다. 추후 집계에서 중복 참여로 보이는 경우는 제외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oldbo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