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지능형 화재감지 기술 개발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국내 연구진이 ‘화재가 아니어도 경보가 발생하는 오경보’(이하 비화재보)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지능형 화재감지 기술을 개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 입자 산란도를 측정해 화재에 의한 연기와 비화재성 에어로졸 입자를 구분하는 비화재보 방지용 AI 센서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기존의 광전식 화재 감지기는 감지기 내부에 적외선 광원과 빛을 감지하는 포토다이오드를 어긋나게 배치하는 방식이다.
감지기 내부에 연기와 같은 입자가 유입되면 광원과 부딪히며 생성되는 산란광을 포토다이오드가 포착하고, 산란광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화재를 경보한다.
하지만, 감지기 내부에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먼지와 습기, 조리로 인한 연기, 담배 연기 등 에어로졸 상태의 입자가 모두 유입될 수 있고, 광전식 감지기는 산란광만 감지되면 경보를 울리기 때문에 비화재보가 자주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ETRI가 개발한 비화재보 방지용 AI 센서는 다양한 빛의 파장을 이용해 에어로졸 입자마다 고유한 산란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화재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ETRI 연구진은 에어로졸 입자에 여러 가지 파장의 빛을 투사하고, 각각의 산란도를 측정해 DB를 구축했다.
이를 인공지능(AI) 기술과 접목, 특정 에어로졸 입자에 대해 화재로 인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해 최종 화재 경보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비화재보 방지용 AI 센서를 개발한 것이다.
ETRI는 비화재보 방지용 AI 센서를 공기흡입형 감지기에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공기흡입형 감지기는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된 고가 제품이며 아직 화재와 비화재를 구분하는 기능이 없어, 이 기술이 적용된 국산 제품이 출시될 경우 국내외 화재 감지기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연기입자 스펙트럼 분석 기반 지능형 화재감지 장비 개발’ 과제를 통해 진행됐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