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공동 연구팀 기술 개발
웨어러블 기기 등서 활용 기대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용록 박사(왼쪽)와 KAIST 신소재공학과 장한휘 박사과정(오른쪽)이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해 소재의 강도를 분석하고 있다. 카이스트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용록 박사(왼쪽)와 KAIST 신소재공학과 장한휘 박사과정(오른쪽)이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해 소재의 강도를 분석하고 있다. 카이스트 제공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스마트 의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극한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열 에너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열전 소재가 한국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는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와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국립한밭대 오민욱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정준호 박사 연구팀과 협업을 통해, 차세대 유연 전자소자를 위한 혁신적인 에너지 수확 솔루션인 ‘비스무트 텔루라이드(Bi2Te3) 열전 섬유’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우리 주변의 열원은 인체, 차량 배기구, 냉각 핀 등 대부분 곡면 형태를 띠고 있다. 세라믹 재료 기반의 무기 열전 소재는 높은 열전 성능을 자랑하지만 깨지기 쉬워 곡선형 제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기존 고분자 바인더를 사용한 유연 열전 소재는 다양한 형상의 표면에 적용할 수 있지만 고분자의 낮은 전기전도성과 높은 열 저항으로 인해 성능이 제한적이었다.

기존 유연 열전 소재는 고분자 첨가제가 들어가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무기 열전 소재는 유연하지 않기 때문에 첨가제 대신 나노 리본을 꼬아 실 형태의 열전 소재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했다.

연구팀이 만든 열전소자는 온도차를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소자로 섬유형 열전소자로 옷을 만들면 체온으로부터 전기가 만들어져서 다른 전자제품을 가동시킬 수도 있다.

이변 연구로 산업 현장에서는 파이프 내부의 뜨거운 유체와 외부의 차가운 공기 사이의 온도 차를 이용해 폐열을 재활용하는 고효율 에너지 수확 시스템을 구축할 가능성도 열었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